KOSA(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의 존폐에 대한 제언

IT 업계에서 오랜 기간 일하면서 느낀 KOSA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현행 KOSA 시스템의 문제점

  1. 비효율적인 경력 증명 시스템
  • 4대 보험 가입 여부와 무관한 경력 증명 체계
  • 디지털 시대에 맞지 않는 복잡한 증명 절차
  • 전산 연계 부재로 인한 불필요한 행정 부담
  1. 대기업 외주 문화 조장
  • 관리직 중심의 IT 프로젝트 운영
  • 프리랜서 간 폐쇄적 네트워크 형성
  • 재하청으로 인한 품질 저하와 책임 소재 불분명
  1. 수익 구조의 문제
  • 정부 지원금에 대한 높은 의존도
  • 회원사 회비 중심의 제한적 수입원
  • 자립적 운영 기반 부재

대안적 접근 제안

  1. 공공기관으로의 통합
  • 핵심 인력의 공무원 전환
  • 투명한 운영 체계 확립
  • 행정 효율성 제고
  1. 민간 플랫폼 활용
  • 크몽과 같은 실력 검증 가능한 플랫폼 활용
  • 시장 중심의 자율적 품질 관리
  • 개발자 경쟁력 향상 도모
  1. IT 산업 구조 개선
  • 대기업 외주 문화 개선
  • 실력 중심의 프로젝트 문화 정착
  • 개발자 권익 보호 강화

현실적 대안

  1. 단계적 기능 이관
  • 경력 증명 시스템의 디지털화
  • 공공 플랫폼으로의 점진적 전환
  • 불필요한 행정 절차 축소
  1. 민간 시장 활성화
  • 실력 기반의 프리랜서 시장 육성
  • 투명한 프로젝트 관리 체계 구축
  • 개발자 평가 시스템 개선
  1. 산업 생태계 혁신
  • IT 프로젝트 관리 체계 현대화
  • 실무자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
  • 투명한 책임 소재 확립

결론적으로, KOSA는 현재 형태로는 IT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공공 영역으로의 통합이나 민간 플랫폼으로의 기능 이양을 통해 더 효율적이고 실효성 있는 시스템으로 재편되어야 할 것입니다. IT 산업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서는 실력과 책임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생태계 조성이 필요합니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