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버린 AI는 국가가 자체 인프라, 데이터, 인력 및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독자적인 인공지능 역량을 구축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특정 국가와 글로벌 기업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자국의 가치관과 특성을 반영한 AI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글로벌 AI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소버린 AI는 국가 안보, 문화적 정체성 보존, 경제적 자립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각국 정부의 투자로 덴마크의 ‘게피온’,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슈퍼컴퓨터 구축 등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네이버를 중심으로 소버린 AI 전략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소버린 AI의 개념과 정의
소버린 AI(Sovereign AI)는 ‘자주적인’, ‘주권이 있는’이라는 의미의 소버린(Sovereign)에 인공지능을 결합한 개념으로, 국가가 자체 인프라, 데이터, 인력 및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독립적으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역량을 의미합니다[1][2]. 이는 단순한 기술적 독립성을 넘어 국가의 가치관, 문화, 제도적 특성을 반영한 AI 시스템을 구축하는 포괄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소버린 AI의 핵심은 특정 국가나 글로벌 기업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자국의 데이터 주권과 기술 자립을 확보하는 데 있습니다[1]. 이는 국가 안보, 데이터 보호, 문화적 정체성 유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성을 갖습니다. 글로벌 AI 기업들이 주로 영어권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개발하는 상황에서, 각국의 언어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AI 개발은 소버린 AI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버린 AI와 데이터 주권
소버린 AI는 데이터 주권 개념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국가가 자국민의 데이터를 자체 법률과 규정에 따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공공 클라우드 인프라는 소버린 AI 구축의 기본 요소입니다[1]. 이를 통해 외국 기업이나 정부의 데이터 접근을 제한하고, 자국의 데이터 보호 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소버린 AI는 또한 물리적 인프라와 데이터 인프라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입니다[2]. 물리적 인프라는 AI 모델을 학습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센터를 의미하며, 데이터 인프라는 자국의 언어, 문화, 관행 등을 반영한 대규모 언어 모델과 같은 기반 모델을 포함합니다.
소버린 AI의 중요성과 필요성
소버린 AI의 중요성은 기술적 자립뿐만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거버넌스 모델에 도전하며, 새로운 산업에 영감을 주는 상황에서 각 국가들은 소버린 AI 역량에 투자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2].
경제적 자립과 혁신 촉진
소버린 AI는 수조 달러에 달하는 경제적 배당금과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2]. 국가가 자체적인 AI 역량을 보유함으로써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자국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AI 시장이 2022년 약 18억 3천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27.5%를 기록하며 2032년에는 20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소버린 AI 구축은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과제입니다[3].
문화적 정체성과 다양성 보존
해외 빅테크 기업이 개발한 AI는 주로 영어 위주의 데이터를 학습하기 때문에 특정 국가의 가치관에 편향된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1]. 소버린 AI를 통해 각국은 자국의 언어, 문화, 관습을 정확히 반영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기여합니다.
음성 AI 모델은 토착 언어를 보존, 홍보,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인간의 언어를 학습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코드 작성, 금융 사기 방지, 로봇 기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2].
국가 안보와 기술 자립
소버린 AI는 국가 안보와도 직결됩니다. AI와 가속 컴퓨팅이 기후 변화 대응, 에너지 효율성 향상, 사이버 보안 위협 방어 등에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으면서, 소버린 AI는 모든 국가가 지속 가능성 노력을 강화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2].
소버린 AI 구축을 위한 핵심 요소
소버린 AI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여러 핵심 요소가 필요합니다. 이는 물리적 인프라부터 데이터, 인재, 정책적 지원까지 다양한 측면을 포괄합니다.
AI 팩토리: 소버린 AI의 기반 시설
AI 구축을 위한 새롭고 필수적인 인프라는 ‘AI 팩토리’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들어오고 인텔리전스가 나오는 차세대 데이터 센터로, 가장 연산 집약적인 작업을 위한 최첨단 풀스택 가속 컴퓨팅 플랫폼을 호스팅합니다[2].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는 “AI 팩토리는 오늘날 전 세계 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2].
각 국가들은 다양한 모델을 통해 자체 컴퓨팅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일부 국가는 국영 통신사나 유틸리티와 협력하여 소버린 AI 클라우드를 조달하고 운영하며, 다른 국가는 현지 클라우드 파트너를 후원하여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유 AI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2].
데이터 주권과 현지화된 AI 모델
소버린 AI 구축을 위해서는 특정 국가의 법률과 규정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공 클라우드가 필요합니다[1]. 이를 통해 국가는 자국민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국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현지 팀에서 개발하고 현지 데이터 세트에 대해 학습된 대규모 언어 모델은 소버린 AI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2]. 이러한 모델은 특정 방언, 문화 및 관행에 대한 포용성을 촉진하며, 국가별 특성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소버린 AI 현황과 사례
전 세계적으로 소버린 AI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구체적인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엔비디아의 AI 네이션스 이니셔티브
2019년부터 엔비디아는 ‘AI 네이션스 이니셔티브’를 통해 전 세계 모든 지역의 국가들이 생태계 활성화 및 인력 개발을 포함한 소버린 AI 역량을 구축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2]. 이를 통해 각국의 엔지니어, 개발자, 과학자, 기업가, 크리에이터 및 공공 부문 공무원이 자국에서 AI 야망을 추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또한 소버린 AI 구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지난 달 엔비디아 창업자 겸 CEO인 젠슨 황은 덴마크 국왕과 함께 덴마크 최대 규모의 소버린 AI 슈퍼컴퓨터 ‘게피온’을 공개했습니다[1]. 게피온은 덴마크 AI 혁신센터에서 운영되며, 덴마크 기상 연구소와 핵심 연구진은 이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계획 중입니다.
유럽의 소버린 AI 프로젝트
프랑스 소재 기업인 Scaleway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2]. 이 슈퍼컴퓨터는 엔비디아 DGX 슈퍼팟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1,016개의 엔비디아 H100 텐서 코어 GPU로 구성된 127개의 DGX H100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스위스 정부가 대주주로 있는 Swisscom Group은 이탈리아 자회사인 Fastweb을 통해 이탈리아 최초이자 가장 강력한 엔비디아 DGX 기반 슈퍼컴퓨터를 구축할 예정입니다[2].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유럽 국가들이 소버린 AI 역량 확보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국의 소버린 AI 전략과 현황
한국은 급성장하는 AI 시장을 바탕으로 소버린 AI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2022년 한국 AI 시장 규모는 약 18억 3천만 달러였으며, 연평균 성장률 27.5%를 기록하여 2032년에는 20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3]. 이러한 성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주요 기업들의 기술 혁신 덕분입니다.
네이버의 소버린 AI 전략
국내 기업 중에서는 네이버가 소버린 AI 전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1].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 주요 경영진은 지난 6월 젠슨 황 CEO를 만나 소버린 AI의 중요성과 AI 모델 구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는 네이버가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한 AI 모델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국 AI 기업의 글로벌 진출
한국의 여러 AI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솔트룩스는 거대언어모델 루시아2 기반의 AI 검색 엔진 ‘구버(Goover)’를 개발하여 미국과 한국에서 동시에 출시했으며, NHN 및 퍼플렉시티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확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3]. 이러한 노력은 한국 AI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되고 있습니다.
소버린 AI의 미래 전망과 과제
소버린 AI는 앞으로 더욱 중요한 국가 전략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기술이 발전하고 글로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각국은 자국의 데이터와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기술적 과제와 협력 필요성
소버린 AI 구축에는 막대한 컴퓨팅 자원과 기술적 역량이 필요합니다. 모든 국가가 독자적으로 최첨단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국가 간 협력과 기술 공유의 필요성을 제기합니다. 특히 중소국가들은 지역적 협력을 통해 공동의 소버린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규제와 표준화 문제
소버린 AI가 확산됨에 따라 국가 간 데이터 이동, AI 규제, 윤리적 표준 등에 관한 새로운 문제가 제기될 것입니다. 각국이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AI 생태계의 분절화가 심화될 수 있으며, 이는 국제적인 협력과 표준화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균형 잡힌 접근의 중요성
소버린 AI는 기술적 자립과 국가 안보를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협력과 지식 공유의 이점을 놓치지 않는 균형 잡힌 접근이 중요합니다. 완전한 기술적 고립은 혁신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자국의 가치와 이익을 보호하면서도 국제적인 협력을 유지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결론
소버린 AI는 단순한 기술적 독립성을 넘어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 경제적 자립, 안보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글로벌 AI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각국은 자국의 특성과 이익을 반영한 AI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한국 역시 빠르게 성장하는 AI 시장을 바탕으로 네이버와 같은 기업들이 소버린 AI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한국의 위상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앞으로 소버린 AI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전략적 접근이 요구됩니다.
소버린 AI가 제기하는 기술적, 정책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 역량 강화와 함께 국제적인 협력과 균형 잡힌 접근이 중요할 것입니다. 각국의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면서도 글로벌 AI 발전에 기여하는 소버린 AI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출처
[1] [시사금융용어] 소버린 AI – 연합인포맥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1117
[2] 소버린 AI(Sovereign AI)란? – NVIDIA Blog Korea https://blogs.nvidia.co.kr/blog/what-is-sovereign-ai/
[3] 대한민국 AI 산업 현황과 주요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및 혁신 전략 분석 https://seo.goover.ai/report/202408/go-public-report-ko-2945c311-e69f-42f9-9c19-cf0f6733f509-0-0.html
[4] 소버린 AI(Sovereign AI)에 대한 이해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devai/1
[5] [PDF] 주간동향리포트 http://www.globalict.kr/upload_file/kms/202411/21650982303254297.pdf
[6] 기업 데이터, 해외 안 나간다…KT ‘소버린 클라우드’ 2분기 선봬 https://news.nate.com/view/20250327n18026
[7] 소버린 AI : AI 시대 네이버의 새로운 도전과 과제 | CLOVA – 클로바 https://clova.ai/tech-blog/ko-%EC%86%8C%EB%B2%84%EB%A6%B0-ai-ai-%EC%8B%9C%EB%8C%80-%EB%84%A4%EC%9D%B4%EB%B2%84%EC%9D%98-%EC%83%88%EB%A1%9C%EC%9A%B4-%EB%8F%84%EC%A0%84%EA%B3%BC-%EA%B3%BC%EC%A0%9C
[8] 네이버클라우드, 엔비디아와 맞손…동남아 소버린 AI 본격 공략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19614
[9] 소버린 AI (Sovereign AI) – 인공지능의 미래 https://heesight.com/entry/%EC%86%8C%EB%B2%84%EB%A6%B0-AI-Sovereign-AI-%EC%9D%B8%EA%B3%B5%EC%A7%80%EB%8A%A5%EC%9D%98-%EB%AF%B8%EB%9E%98
[10] 하정우 “소버린AI가 국뽕?···네이버 어젠다 아닌 대한민국 성장 어젠다” https://zdnet.co.kr/view/?no=20240916121827
[11] 네이버클라우드 엔비디아와 동남아 소버린 AI 공략 본격화 – 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50321100344774
[12] [칼럼] 소버린 AI와 상용 AI의 이원화 시대: 국가 전략자산으로서의 인공 …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2633
[13] 소버린 AI(Sovereign AI)란? – NVIDIA Blog Korea https://blogs.nvidia.co.kr/blog/what-is-sovereign-ai/
[14] 소버린 AI | Oracle 대한민국 https://www.oracle.com/kr/artificial-intelligence/sovereign-ai/
[15] [매경춘추] 왜 ‘소버린 AI’인가! –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contributors/11178507
[1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90549&bcIdx=27806
[17] [D.gov 이슈분석 2024-2호] 초연결사회의 양면성과 정책 과제 https://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37989&bcIdx=27558&parentSeq=27558
[18] 소버린 AI – AMD https://www.amd.com/ko/forms/contact-us/sovereign-ai.html
[19] 서울대국제문제연구소-주요 행사 안내 https://narangdesign.com/mail/snuiis/202409/sub32.html
[20] AMD의 소버린 AI 솔루션 https://www.amd.com/ko/solutions/ai/sovereign-ai.html
[21] KT, K-산업 최적화 ‘AI 자율 에이전트·소버린 클라우드’로 B2B 공략 https://www.viva100.com/article/20250327500750
[22] Sovereign AI 동향 및 시사점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89955
[23] [보고서 소개] D.gov 이슈분석 2024-2호 발간 안내 「D … –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withnia1114/p/DEeckJoSkEI/-%EB%B3%B4%EA%B3%A0%EC%84%9C-%EC%86%8C%EA%B0%9C-dgov-%EC%9D%B4%EC%8A%88%EB%B6%84%EC%84%9D-2024-2%ED%98%B8-%EB%B0%9C%EA%B0%84-%EC%95%88%EB%82%B4dgov-%EC%9D%B4%EC%8A%88%EB%B6%84%EC%84%9D%EC%9D%80-%EC%A0%95%EB%B6%80%EC%9D%98-%EB%94%94%EC%A7%80%ED%84%B8-%EC%A0%84%ED%99%98%EC%9D%84-%EC%9C%84%ED%95%9C-%EB%8B%A4%EC%96%91%ED%95%9C-%EC%9D%B4%EC%8A%88%EB%B6%84%EC%84%9D%EA%B3%BC-%ED%96%A5%ED%9B%84-%EC%A0%95%EC%B1%85-%EB%B0%A9%ED%96%A5%EC%9D%84-%EB%AA%A8%EC%83%89%ED%95%98/
[24] ‘AI 리터러시’ 함양의 필요성, AI 교육의 방향에 대해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yul-ssam/223545292815
[25] KT·MS, ‘한국적 AI’ 공동 개발…“’소버린 클라우드’로 데이터 주권 지킨다” https://www.ceoscoredaily.com/page/view/202503271405368203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