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획 단계
- 사이트 종류 결정
- CEX (Centralized Exchange, 중앙화 거래소)
- DEX (Decentralized Exchange, 탈중앙화 거래소)
먼저 어떤 스타일로 만들 건지 정해야 해. (초기엔 보통 CEX를 많이 해.)
- 핵심 기능 정리
- 회원가입 / 로그인 (KYC/AML 인증 포함할지 여부)
- 지갑 관리 (입금, 출금)
- 코인 거래 (매수/매도, 주문서 관리)
- 거래소 전용 코인(수수료 할인용) 만들 건지
- 관리자 페이지 (통계, 회원 관리, 거래 내역 관리 등)
- 목표 시장 / 국가
- 어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할지? (한국, 동남아, 글로벌 등)
2. 기술 스택 선정
- 백엔드 서버
- Node.js (express), Go, Python (FastAPI/Django), Java 등
- 프론트엔드
- React, Next.js, Vue 등
- 데이터베이스
- PostgreSQL, MySQL, Redis (캐시용)
- 블록체인 연동
- 직접 노드를 돌릴지, 외부 API (예: Infura, Alchemy) 쓸지 결정
- 매칭 엔진
- 빠르고 정확한 거래 체결 로직 필요 (이건 별도 서버로 설계할 수도 있어)
3. 보안 설계
- 사용자 자산 보호
- 콜드월렛 / 핫월렛 분리 관리
- 네트워크 보안
- HTTPS (SSL), 방화벽 설정
- DDOS 방어
- 계정 보안
- 2FA 인증 (Google Authenticator 같은)
- 입출금 보호
- 출금 요청 시 관리자 승인 시스템 (초기엔 필요할 수 있음)
4. 운영 인프라
- AWS, Azure, GCP 같은 클라우드에 배포하거나
- 직접 IDC 서버 구축할 수도 있어 (하지만 운영비용 높아)
- 모니터링 (Prometheus + Grafana 같은) 꼭 해야 함
5. 법률 & 라이선스
- 거래소는 “금융기관”에 가깝게 규제받는 경우 많아
- 지역에 따라 라이선스 취득 필수 (예: 한국은 FIU 등록)
- 변호사와 상담하는 거 추천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