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요약:
Gro 3 프레젠테이션은 XAI와 Gro의 사명 ‘우주 이해’를 설명하며,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AI 기술인 Grock 3을 발표한다. 이 프레젠테이션은 XAI 팀의 주요 구성원 소개, Grock 3의 기능 및 성능 개선, 추론 및 학습 능력, AI 팀의 노력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Grock 3가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이를 실제 문제 해결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실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업직히 개선되고 확장되며, 모든 인간의 지식이 담길 수 있는 ‘Deep Search’ 기능으로, 실제 세계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시연과 설명이 이루어졌다.
목차 및 세부 내용:
1. XAI와 Gro의 사명
– XAI의 사명은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인류에게 의미 있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2. Grock 3의 발표 및 기능
– Grock 3은 개선된 AI로, 짧은 기간에 Grock 2를 능가하는 성능을 달성했다. 이는 XAI 팀의 노력으로 가능해졌다.
3. 팀 소개 및 구성
– XI의 수석 엔지니어링 담당 Igor 등 여러 팀 구성원이 Grock 3 프로젝트에 대한 역할을 소개한다.
4. AI 개발 과정 및 과제
– GPUs와 데이터 센터의 구축 등 실제 하드웨어 측면의 문제가 언급되며, 이를 통해 Grock 3 개발 과정의 복잡성이 드러난다.
5. 모델의 성능 개선
– Grock 1부터 Grock 3까지의 발전된 과정과 성능 평가 결과가 공개되며, 특히 Grock 3는 추론, STEM 지식, 코딩 능력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6. Deep Search와 Grock 3의 응용
– ‘Deep Search’는 실시간 지식 탐색 기능으로, 이를 이용하여 복잡한 문제 해결과 인간의 일상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능력이 시연된다.
[Grok3](https://www.example.com)의 발표는 인공지능의 본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우주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Grok 3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는 AI 모델로, 인간의 사고방식과 유사하게 자기비판적 사고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문제 해결 능력을 극대화하여, 실제적인 활용 사례를 제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특히, Grok은 물리 문제나 게임 제작 같은 도전적인 작업을 수행하며 창의력의 시작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AI가 우리의 일상적 인지와 직무를 어떻게 혁신할 수 있을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Grok: Grok은 서로를 완전하고 깊이 있게 이해한다는 의미로, 인공지능 모델의 이름입니다. 이 단어는 로버트 하인라인의 소설에서 유래하였고, AI가 인간처럼 사물을 이해하고 공감…
1. Grok 3의 혁신과 발전 현황
Grok 3는 XAI의 목적에 따라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AI로, 진리를 추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모델은 Grok 2에 비해 짧은 시간 안에 10배 이상의 계산 능력을 가지며, XAI의 데이터 센터에서 대단히 많은 GPU를 활용하여 훈련되었다.
Grok 3는 수학, 과학, 컴퓨터 공학 분야의 여러 벤치마크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챗봇 아레나라는 플랫폼에서 기존 AI들보다 뛰어난 ELO 점수를 기록하였다.
AI 모델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XAI는 Grok 3의 훈련을 강화학습으로 확장하여 논리적 사고와 자기비판적 사고를 통해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개선하고자 한다.
Grok 3는 XAI 내부에서 이미 엔지니어링 작업 시간을 크게 절약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성능 개선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1. Grok3 발표의 목표와 비전
XAI와 Grok의 임무는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외계인의 존재, 삶의 의미, 우주의 시작과 끝과 같은 근본적인 질문을 탐구한다.
호기심에 의해 움직이는 Grok는 진실을 최대한 추구하는 AI로, 이는 정치적 올바름과 대치될 수 있다.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철저히 진실을 추구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환상이나 오류를 겪게 된다.
Grok 3는 Grok 2에 비해 유능함이 한 차원 높아진 성과로, 이는 훌륭한 팀의 노력 덕분이다.
Grok 프로젝트는 지혜로운 인재를 팀에 초대하고 싶어 한다.
1.2. Grok AI의 발전 과정
Grok은 XAI에서 개발 중인 AI 도구이다.
XAI 팀은 지난 몇 개월 동안 Grok의 개선을 위해 열심히 작업해 왔다.
Grok은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며, 대화가 흥미롭고 재미있는 AI이다.
Grok은 몇 가지 역량의 향상을 이뤄냈다.
1.3. Grok의 기원과 AI 발전 내용
Grok은 Heinlein의 소설 Stranger in a Strange Land에서 유래된 단어로, 완전히 이해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XAI의 발전은 지난 17개월 동안 비약적으로 진행되었으며, Grok 1은 당시에는 거의 장난감 수준의 성능만을 가지고 있었다.
Grok 1.5와 Grok 2 모델이 연달아 출시되었으며, 성능의 원천은 강력한 엔지니어링 팀과 AI 인재에 있다.
Grok 2 모델은 전인류의 지식을 압축하여 모든 정보를 인터넷으로부터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Grok 2 모델 훈련 과정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고, 초기에는 A100 훈련 칩을 원활하게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1.4. ️ 데이터 센터 구축과 AI 개발 과정
XAI의 성공을 위해, Elon은 자체 데이터 센터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데이터 센터 구축은 4개월 이내에 완료해야 했으며, 실제로 122일 만에 첫 100,000개의 GPU를 가동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 데이터 센터는 H100 클러스터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연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데이터 센터 용량을 두 배로 늘리기로 결정하였고, 이 과정은 92일이 걸렸다.
현재 Grok 3 모델의 훈련이 진행 중이며,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10배 이상의 컴퓨팅 성능이 개선되었다.
1.5. Grok 3의 벤치마크 결과와 성능
Grok 3는 일반 수학적 추론, STEM 및 과학에 대한 일반 지식, 컴퓨터 과학 및 코딩 세 가지 카테고리에서 평가되었으며 성능 면에서 독보적인 수준이다.
Grok 3의 초기 버전이 이미 1,400의 ELO 점수를 기록했으며, 이는 다른 모델들과의 비교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Grok 3는 모든 카테고리에서 번호 하나로 1위에 오르며 챗봇 기능, 명령 수행, 코딩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Grok 3 팀은 매일 모델의 개선을 진행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하루 단위로 성능 향상을 경험할 수 있다.
최상의 AI는 인간처럼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하며, 이를 위해 Grok 3는 강화 학습을 통해 추가적인 추론 능력을 개발할 것이다.
2. Grok의 고급 추론 능력과 성공 사례
Grok는 물리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구에서 화성으로의 궤적을 계획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문제를 진행하고 있다.
Grok는 비스크립트 방식으로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 과정에서 생기는 사고 흔적을 통해 문제 해결 과정을 보여준다.
Grok는 Tetris와 Bejeweled를 혼합한 게임을 창작하는 도전 과제에도 참여하며, 이 과정에서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Grok 3 모델은 다양한 벤치마크에서 비교적 높은 성과를 올렸으며, 특히 수학, 과학, 코딩 분야에서 뛰어난 성적을 나타냈다.
Grok는 훈련 과정에서 스스로의 실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능력을 학습하였고, 이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Grok의 기능과 AI 게임 스튜디오
Grok은 지정된 문제 해결을 위해 GPU 클러스터를 활용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작업을 할 수 있다.
Grok은 물리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이썬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지구와 화성 간의 우주선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할 수 있다.
Grok이 생성한 Tetris 게임은 색상 변별과 중력 작용을 통해 블록이 사라지는 메커니즘을 구현하였고, 실행 결과 색상은 조금 다르게 나타났다.
X.AI는 AI 게임 스튜디오를 론칭할 예정이며, 사용자들이 AI 게임을 만들고 참여할 수 있도록 모집하고 있다.
새로운 제품 DeepSearch는 AI 모델이 사용자 질문의 의도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여러 출처를 교차 검증하여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차세대 검색 엔진이다.
4. Grok 3 및 기능 소개
Grok 3 모델은 심층 검색과 고급 추론 모드를 포함하여 향상된 채팅 기능을 제공한다.
Grok 3에 대한 여러 기능은 프리미엄 플러스 가입자에게 먼저 출시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앱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Grok 사용자에게는 조기 접근을 제공하는 “Super Grok”라는 별도 구독 옵션이 마련되어 있다.
Grok의 웹 버전은 가장 강력하고 최신 버전으로 제공되며, 모바일 앱에 비해 기능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언급한다.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개선이 예상되며, 음성 상호작용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5. Grok의 기능과 개발 과정
Grok은 오디오를 텍스트로 전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이는 앱과 API 모두에서 지원된다.
사용자 개인 비서처럼 작동하여,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Grok의 목표이다.
Grok의 음성 인식 기능은 단순한 텍스트 변환을 넘어, 톤, 억양, 속도 등 다양한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
Grok 2는 안정성이 확보되면 오픈 소스 형태로 배포될 예정이며, Grok 3의 출시 이후 몇 달 내에 관련 작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GPU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과정은 매우 복잡했으며, 전력, 냉각, 네트워킹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노력이 필요했다.
보너스 페이지
GROK 입력 토큰이 클로드의 5배다. 이제 책 한 권이 아니라 백과사전을 입력으로 넣어도 된다.
일론 머스크답게, 해당 서비스는 지금 사용 못 한다. 구글이 일부 사용자에게만 열었던 것. 샘 울트먼이 배포 전 자체 테스트 결과로 광고하는 것 등을 종합 고려했을 때 딱히 나쁜 건 아니지만. 테슬라 때부터 사업가 특유의 구라쟁이 이미지를 벗으려면, 서비스를 모두가 사용할 수 있게 한 다음 말을 하는 것이 맞겠다.
그러나 학습에 쓰인 하드웨어 스펙 공개 및 개발 기간 공개. 및 추 후에도 이전 버전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겠다는 약속 등은. 결국 이 분야도 일론 머스크가 먹겠구나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다. 로켓 세우는 것도 그렇게 힘든데, 먼저 이야기 한 우주의 문제를 풀려면 AI가 필수겠고 테슬라 자율 주행 기술도 교집합에 있으니 뻔한 행보로 보인다. 하지만 strong move. 그의 행보는 확실히 boldy 하다. 유명인 얼굴 deep fake 기능 기본 탑재도 이슈 몰이를 하고 트럼프를 등에 업은 이상, 면죄부도 가능하기에 치밀한 계산으로 보인다. 이런 글을 쓰는 나도 체스판에서 하나의 폰에 지나지 않지만, 독자분들이 읽기 쉽게 하고 저 역시 정리된 지식을 naver.how 에 저장하고 쌓는 것이 목표입니다. naver.how 에 저장하는 이유는 데이터를 또 가공하기 쉽게 하기 위함(셀레늄은 이제 지겨워요) 한국 크롤링의 원조는 이분.
https://github.com/YoongiKim/AutoCrawler
GitHub – YoongiKim/AutoCrawler: Google, Naver multiprocess image web crawler (Selenium)
Google, Naver multiprocess image web crawler (Selenium) – YoongiKim/AutoCrawler
작년에 결혼도 하셨다. ㅊㅋㅊㅋ
https://www.facebook.com/YoongiKim0
개발자는 결혼을 해야 세상을 파괴시키지 않는다는 나의 지론에 입각하여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https://community.lilys.ai/p/daesgeul-insaiteu-gineung
대한민국 서비스 중, 요약을 가장 잘하는 서비스에 이렇게 의견 개진도 하였다. 사실 paralles를 이용 중이고, 나중에 deepseek와 연계해서 아예 로컬에서 동작하는 서비스를 내거나 요약 랭킹, 핵심만 제공하는 서비스 론칭으로 시장을 양분할 수도 있으니, 너무 아군으로 생각 안 했으면 좋겠다. 난 결국 에지 컴퓨팅이 성공하는 시대를 점치고 있으니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