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버추얼 방송 플랫폼과 같은 혁신적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잠재력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콘텐츠와 플랫폼 기업들이 이 지역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면서 버추얼 방송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버추얼 방송 플랫폼이 어떻게 받아들여질지에 대한 포괄적 분석을 제공합니다.
동남아시아 디지털 콘텐츠 소비 트렌드
동남아시아 지역은 디지털 콘텐츠 소비에 있어 독특한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 콘텐츠에 대한 높은 수용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4년 중반까지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음악,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콘텐츠가 지난 10년간 성장한 한류 열풍을 타고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습니다[3]. 이러한 문화적 친밀도는 한국 기반의 버추얼 방송 플랫폼이 이 지역에 진출할 때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을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에 대해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소비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3]. 특히 인도네시아는 넷플릭스 TV 월간 시청률 상위 10위 내에 한국 드라마가 가장 많이 오르는 등 한국 콘텐츠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으며,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도 비슷한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3]. 이는 한국 콘텐츠의 섬세한 스토리텔링, 높은 제작 품질, 배우들의 연기력 등이 동남아시아 시청자들의 취향과 잘 맞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베트남의 경우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4]. 또한 모든 종류의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안정적인 스트리밍 서비스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4], 버추얼 방송 플랫폼이 진입할 수 있는 잠재적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SOOP의 동남아시아 진출 전략 분석
한국의 대표적인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인 SOOP(구 아프리카TV)의 동남아시아 진출 사례는 버추얼 방송 플랫폼의 시장 진입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참고점을 제공합니다. SOOP은 2024년 11월 글로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을 정식 론칭하며 태국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및 영어권 국가로 시장을 확장할 계획을 밝혔습니다[1]. 특히 태국 현지 스트리머와 협력해 스트리밍 생태계를 구축하고 유저와 스트리머 간 상호 작용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1].
SOOP은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다양한 기능과 현지화 전략을 도입했습니다.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인기가 높은 e스포츠 콘텐츠 ‘발로란트’ 전용 페이지를 비롯해 방송 클립 제작·공유 기능, 스트리머 위젯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으며[1], 향후 플랫폼에 ‘서드 파티 툴’ 연동을 지원해 스트리머가 동시 송출 시 하나의 화면에서 함께 보기, 채팅 관리, 방송 알림, 팬 관리 및 통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1].
2024년 6월에 출시된 SOOP 베타 버전은 해외 이용자의 편의성과 개인화 서비스에 초점을 둔 새로운 사용자환경(UI)을 적용했습니다[2]. 영어, 태국어, 중국어(간체자·번체자)를 지원하며, 이용자가 접속한 지역 콘텐츠를 우선으로 노출하는 지역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2]. 또한 스트리머와 유저 간 활발한 소통을 위해 실시간으로 언어를 번역해주는 자막 기능도 도입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2].
SOOP의 시장 확장 전략은 태국 시장을 중심으로 국가별 맞춤형 접근을 취하고 있습니다. 태국 유명 e스포츠 프로덕션인 FPS 타일랜드를 인수하고, 라이엇게임즈와 협업해 ‘발로란트 챌린저스 태국 2024’를 중계하는 등 현지 시장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2]. 이러한 전략은 NH투자증권 안재민 연구원의 분석처럼 “유튜브가 절대적인 강자이지만 실시간 방송과 e스포츠 같은 특정 영역에서는 트위치와 아프리카TV가 강점이 있다”는 점을 활용한 것으로, 동남아 및 글로벌 시장에서도 충분히 승산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2].
버추얼 방송 플랫폼의 시장 수용성 요인
버추얼 방송 플랫폼이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여러 요인들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 지역에서의 한국 콘텐츠 수용 패턴을 살펴보면, 각 지역별로 문화적 뉘앙스와 언어 등이 콘텐츠 선호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3].
문화적 친밀도와 콘텐츠 선호도
동남아시아에서 한국 콘텐츠가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배경에는 섬세한 스토리텔링, 높은 제작 품질뿐만 아니라 가족, 사랑, 개인의 일상 등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는 특성이 있습니다[3]. 이러한 문화적 친밀도는 버추얼 방송 플랫폼이 제공하는 콘텐츠의 성격과 스타일에도 반영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버추얼 캐릭터를 통해 표현되는 스토리와 상호작용이 현지 시청자들의 문화적 감수성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더 글로리>, <킹 더 랜드>, <여신강림> 등 한국 드라마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반면, 호주와 뉴질랜드는 드라마보다 <피지컬: 100 시즌 2>와 같은 예능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3]. 이는 언어와 문화적 이질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버추얼 방송 플랫폼이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언어 접근성과 기술적 요소
SOOP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시 언어 지원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SOOP은 영어, 태국어, 중국어를 지원하고 실시간 번역 자막 기능을 준비하는 등 언어 장벽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2]. 버추얼 방송 플랫폼 역시 다국어 지원과 실시간 번역 기능을 통해 현지 시청자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도모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인터넷 인프라와 디바이스 보급 현황을 고려한 기술적 최적화도 중요합니다. 베트남의 경우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4], 동남아시아 전반적으로도 디지털 미디어 소비가 증가하고 있지만, 국가별로 인터넷 속도와 안정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기술적 유연성이 요구됩니다.
시장 진입 전략 제언
버추얼 방송 플랫폼이 동남아시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현지화 전략
SOOP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시 현지 스트리머와의 협력과 현지 콘텐츠 생태계 구축이 중요합니다[1]. 버추얼 방송 플랫폼 역시 현지 창작자들과 협력하여 현지 감각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버추얼 캐릭터와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입니다. 특히 태국 시장은 SOOP과 같은 한국 기업들이 중점적으로 공략하는 시장으로, 태국 시청자들의 취향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전략이 필요합니다.
다국어 지원은 기본이며, 단순한 인터페이스 번역을 넘어 현지 언어로 된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SOOP이 계획하고 있는 실시간 번역 자막 기능[2]과 같은 혁신적인 기능은 버추얼 방송 플랫폼에서도 고려할 만한 요소입니다.
콘텐츠 특화 전략
동남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콘텐츠 장르와 형식을 파악하여 버추얼 방송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OOP의 경우 e스포츠 콘텐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1][2], 이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e스포츠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한 전략입니다. 버추얼 방송 플랫폼 역시 게임, 음악, 엔터테인먼트 등 현지에서 인기 있는 콘텐츠 영역을 파악하고, 이를 버추얼 캐릭터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특히 한국 콘텐츠의 장점으로 꼽히는 섬세한 스토리텔링과 높은 제작 품질[3]을 버추얼 방송에도 적용하되, 현지 시청자들의 취향과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버추얼 캐릭터의 디자인과 스토리라인, 상호작용 방식 등에 현지 문화적 요소를 적절히 반영하여 친밀감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기술적 최적화
동남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인터넷 환경과 디바이스 사용 패턴을 고려한 기술적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특히 모바일 기기를 통한 콘텐츠 소비가 많은 지역이므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버추얼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은 대역폭에서도 원활한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버추얼 캐릭터와 배경의 렌더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AR(증강현실) 및 VR(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버추얼 방송 경험을 제공하되, 현지 기술 인프라의 한계를 고려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인 버추얼 방송 서비스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고급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이 효과적일 것입니다.
결론
동남아시아 시장은 버추얼 방송 플랫폼에게 상당한 기회를 제공하는 잠재력 있는 시장입니다. 한국 콘텐츠에 대한 높은 수용성[3]과 디지털 미디어 소비의 증가[4]는 버추얼 방송 플랫폼이 진출할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SOOP과 같은 한국 기업의 동남아시아 진출 사례[1][2]는 현지화 전략과 콘텐츠 특화 전략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현지 문화와 소비자 선호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태국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차별화된 접근과 현지 창작자들과의 협력을 통한 생태계 구축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술적 최적화와 사용자 경험 개선을 통해 버추얼 방송 플랫폼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현지 시청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버추얼 방송 플랫폼은 한류 콘텐츠의 새로운 전달 채널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현지화된 콘텐츠와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각 국가별 문화적 특성과 규제 환경, 기술 인프라 등을 고려한 세심한 접근이 성공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출처
[1] SOOP, 글로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정식 출시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1122064800017
[2]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개척자 SOOP, 동남아 시장 공략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406052126025
[3] [PDF] 동남아·태평양 지역 콘텐츠산업 동향 https://welcon.kocca.kr/cmm/fms/CrawlingFileDown.do?atchFileId=FILE_a47c306e-7815-4803-b869-7e7dd492a31b&fileSn=1
[4] [PDF] 베트남 콘텐츠산업 동향 https://welcon.kocca.kr/cmm/fms/CrawlingFileDown.do?atchFileId=FILE_fcf723e9-a515-40c5-b30a-bc89accf092c&fileSn=1
[5] SOOP 글로벌 플랫폼 출시···동남아 품을 수 있을까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406051430001
[6] [PDF] 태국 콘텐츠 산업 동향 https://welcon.kocca.kr/cmm/fms/CrawlingFileDown.do?atchFileId=FILE_1a4372e5-5fe3-476a-84a2-7b92102711f4&fileSn=1
[7] [동남아 이야기] 2024년 주목 해야 할 동남아 이커머스 플랫폼 시장 https://iting.co.kr/insight-vietnam-newsletter-20240223/
[8] [PDF] 동남아 3개국 방송프로그램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KOTRA 무역자료실 https://lib.kotra.or.kr/pyxis-api/1/digital-files/c16960ef-ec5f-018a-e053-b46464899664
[9] 동남아시아 OTT 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 INDUSTRY & POLICY https://www.kocca.kr/trend/vol23/sub/s31.html
[10] [PDF] 동남아에서의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수용에 관한 연구 https://www.kais99.org/jkais/journal/Vol23No08/vol23no08p26.pdf
[11] [PDF] 인도네시아 중심의 동남아 방송한류 확산방안 연구 https://www.training.go.kr/htmi/Report/TD0392TR0221016/20180103SSyM0FOW.pdf?saveas=%5Be3%5DsB4qzNn7UMgEcW6zVzVQEoBhGrPlb-dUwCshHRWam1cJublWLVsOaQGPLdlv_7vZIZRiiGJmsorbtMq2C_Ss0iDlt1IUoqNPaMUQofT6u_AaLS88Y%3D
[12] (이슈 리포트2) 버추얼 캐릭터 2.0: 버추얼 엔터의 진화와 정책적 시사점 https://www.kca.kr/Media_Issue_Trend/vol63/KCA63_12_issue2.html
[13] [PDF] 방송 콘텐츠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https://eng.kcc.go.kr/download.do?fileSeq=58474
[14] [PDF]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보고서 – ITS 국제협력센터 https://intl.its.go.kr/file/e04c1886-4dab-49cc-a4ee-cd4e4bfe57bf_%5BKOTRA%5D%20%EC%8A%A4%EB%A7%88%ED%8A%B8%EC%8B%9C%ED%8B%B0%ED%95%B4%EC%99%B8%EC%A7%84%EC%B6%9C%EC%A0%84%EB%9E%B5%EB%B3%B4%EA%B3%A0%EC%84%9C.pdf
[15] [PDF] 지상파 방송의 높은 시청 비중, 태국 방송 · 미디어 시장 분석 https://www.kca.kr/fileDownload.do?action=fileDown&mode=&boardId=TRENDS&seq=2427047&fileSn=1
[16] [통신원 리포트] 글로벌 화장품 핫 온라인 채널 입체분석 (5) 베트남 … https://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36714
[17] “후원 아이템은 ‘젬’”…SOOP, 베타 버전 출시 https://news.stockplus.com/m?news_id=13389852
[18] [PDF] 동남아 3개국 모바일 콘텐츠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https://dl.kotra.or.kr/pyxis-api/2/digital-files/c16960ef-e822-018a-e053-b46464899664
[19] 동남아시아 마케팅 방법 – 싱가포르 라이브 커머스 방송 플랫폼 전격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448057
[20] [PDF] 방송·미디어 산업의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전략 연구 https://www.kca.kr/fileDownload.do?action=fileDown&mode=&boardId=REPORT&seq=3997747&fileSn=1
[21] SOOP, 글로벌 플랫폼 론칭과 버추얼 스트리머 성장이 주는 투자 기회 … https://seo.goover.ai/report/202411/go-public-report-ko-b2759f1b-769f-4fdb-a42e-e7b8b98bbfe7-0-0.html
[22] 인공지능 기반 Live-Tech 소통과 시장의 경계를 허물다. https://www.kca.kr/hot_clips/vol92/sub01.html?lang=en
[23] [PDF] 인공지능 기반 Live-Tech – 소통과 시장의 경계를 허물다. https://www.kca.kr/hot_clips/vol92/pdf/Hot_Clips_vol92.pdf
[24] SOOP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정식론칭…”동남아 공략” – 뉴스1 https://www.news1.kr/it-science/general-it/5608368
[25] [PDF] 2025 산업전망 세미나 – 한국IR협의회 https://w4.kirs.or.kr/download/seminar/7.%20%EC%97%94%ED%84%B0,%20%EB%A0%88%EC%A0%80,%20%EB%AF%B8%EB%94%94%EC%96%B4_%EC%9D%B4%ED%99%94%EC%A0%95.pdf
[26] [서치 e종목] SOOP, 동남아 진출·트위치 이적 스트리머 활약으로 성장 … http://www.dailyinvest.kr/news/articleView.html?idxno=58388
[27] 박상욱 코카(KOCCA) 싱가포르 센터장 “”한류 확산에 새로운 모델을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mediontech/mediontech1/contents/250128220232800ge
[28] 주류 시장 넘보는 ‘버추얼 유튜버’…메타버스 타고 세계로 https://m.g-enews.com/view.php?ud=202206022213162182c5fa75ef86_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