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은 거래가 계속 발생해서 쌓이고,
그 거래들을 모아서 하나의 블록으로 만들고,
이 블록의 유효한 nonce를 먼저 찾는 채굴자가 보상을 받으며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합니다.
즉, 거래 → 블록 생성 시도 → nonce 찾기(채굴) → 블록체인에 연결
이 순서가 핵심입니다.
🔁 전체 흐름을 시간 순으로 보면:
1️⃣ 트랜잭션들이 네트워크에 발생
-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비트코인을 보냅니다.
- 이런 거래들이 메모리 풀(Mempool)에 잠시 저장됩니다.
2️⃣ 채굴자는 거래들을 모아서 블록을 만듭니다
- 대략 수백~수천 개의 거래를 모아 새 블록을 준비합니다.
- 이때 머클 트리(Merkle Root)를 만들고 블록 헤더를 구성합니다.
3️⃣ Nonce를 찾기 시작합니다 (채굴 시작)
- 블록 헤더가 완성되었으면, 그 안의 nonce 값을 계속 바꾸면서 SHA-256 해시를 계산합니다.
- 목표 값보다 낮은 해시가 나올 때까지 계속 시도합니다.
4️⃣ 유효한 nonce를 찾은 채굴자가 블록을 제출합니다
- 해시값이 조건(예: 앞의 4~5바이트가 0) 을 만족하면, 채굴자는 블록을 네트워크에 전파합니다.
- 다른 노드들은 그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5️⃣ 블록이 체인에 추가되고, 다음 블록을 준비
- 새 블록은 블록체인에 연결되고,
- 이제 다음 블록(다음 높이)을 위해 다시 거래를 모으고 nonce를 찾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 중요한 개념: “블록은 미리 만들고, nonce는 나중에 찾는다”
블록에 포함할 거래들은 먼저 모아서 블록을 구성하고,
그 블록이 조건을 만족하도록 만드는 nonce를 나중에 찾는 작업이 바로 채굴입니다.
⏱️ 그럼 채굴은 얼마나 오래 걸리나요?
- 비트코인은 약 10분에 한 번 새 블록이 생성되도록 난이도가 자동 조정됩니다.
- 난이도가 올라가면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를 찾기 더 어려워지고,
- 내려가면 찾기 쉬워지죠.
💡 추가 참고: 왜 채굴 전에 거래를 모을까?
- 채굴자는 거래 수수료도 보상으로 받기 때문에,
수수료가 높은 거래들을 우선적으로 블록에 넣습니다. - 즉, “어떤 거래를 넣을지 + 어떤 블록 구조를 만들지”는 채굴자가 결정하고,
- 그 구조에서 유효한 nonce를 찾아내야 비로소 블록이 인정받습니다.
📌 요약
개념 | 설명 |
---|---|
거래 발생 | 사용자 간 비트코인 전송이 발생하고 mempool에 저장됨 |
블록 생성 | 채굴자가 거래들을 모아 블록 헤더를 구성 |
nonce 찾기 | 구성한 블록의 해시가 조건을 만족하도록 nonce를 찾는 작업 (채굴) |
블록 제출 | 유효한 nonce를 찾은 사람이 블록을 제출하고 보상 획득 |
체인 연결 |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이 추가됨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