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Ethereum) 메인넷의 대표적 슬래싱 사례
- 2021년 4월 13일 – 중복 키 사용으로 인한 더블보팅
- 일부 검증자가 동일한 키를 여러 노드에서 사용하다가 동일 슬롯에서 두 개의 투표(Attestation)를 제출하며 슬래싱 발생.
- 총 11개의 검증자가 슬래싱되어 11 ETH 손실 (medium.com, medium.com, linkedin.com).
- 2023년 4월 13일 – 다른 중복 키 사고
- 거의 같은 유형의 사고가 재발하며 일부 검증자가 슬래싱됨 .
- 2021년 메인넷 프리즘블록(Prysm) 클라이언트 오류
- Prysm 운영자들의 투표 메커니즘 구현 오류로 블록 생성을 놓치거나 잘못 수행, 슬래싱 유발 (dpnm.postech.ac.kr, medium.com).
- 2020년 Medalla 테스트넷 (8월 14일)
- Prysm 버그로 3,000개 검증자가 슬래싱됨. 이는 테스트넷에서 대규모 코드를 검증하는 중 발생한 사건으로 실제 ETH 유실은 없었지만, 테스트 모드에서 큰 손실이 발생 (linkedin.com).
❓ 악의적인 행위로 간주된 사례들
- **같은 슬롯에 서로 다른 블록 제안(Proposer violation)**이나
- 이중 투표(Double voting),
- 분기된 체인의 체크포인트를 둘 다 증명(Attestation violation) 등은 프로토콜 상 명백한 악의 행위로 간주되어 슬래싱 대상입니다 (consensys.io, medium.com).
이 중 특히 고의적 조작(예: 두 노드로 고의적으로 더블보팅)이나 네트워크 위협 행위는 프로토콜에 의해 즉각적인 페널티가 주어집니다.
🔢 슬래싱 시 벌칙 구조
- 초기 벌금: 약 1 ETH 또는 검증자 잔고의 1/32
- 추가 벌금: 슬래싱 이후 36일간 매 에포크마다 ~0.07 ETH 추가
- 동시 슬래싱 페널티: 같은 시기에 슬래싱된 검증자 수에 따라 가중 (consensys.io).
이를 종합하면 단일 슬래싱 이벤트로 총 약 1.08 ETH가 피해 발생하며, 극단적으로는 전체 지분(32 ETH)이 소실될 수 있습니다 (linkedin.com).
🌐 타 블록체인 사례
- 파일코인(Filecoin):
- 악의적 또는 중대한 스토리지 증명 실패 시 슬래싱 적용됨 (research.coinone.co.kr).
- BOSagora:
- 같은 슬롯에서 다른 블록 제안하거나 투표 규칙 위반 시 슬래싱 발생 (medium.com).
이처럼 주요 PoS 및 스토리지 기반 블록체인에서 슬래싱은 악의적 행위 대응용 핵심 보안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정리 요약
체인 | 악의적 행동 사례 | 슬래싱 형태 |
---|---|---|
Ethereum | 중복 키, 더블보팅, 블록 제안 충돌 등 | ~1.08 ETH 페널티 |
Filecoin | 스토리지 증명 실패 또는 합의 과정 위반 | 스토리지/합의 실패 시 페널티 |
BOSagora | 같은 슬롯에 다른 블록 제안, 투표 규칙 위반 등 | 즉시 슬래싱 및 검증자 풀에서 퇴출 |
📌 맺음말
말 그대로 악의적 행위—특정 슬롯에서 다른 블록 제안하거나, 체크포인트를 이중 투표하는 행위 등—에 대해선 대부분의 PoS 체계가 즉각적이고 가혹한 슬래싱 페널티(지분 일부 또는 전부 삭감)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는 시스템의 무결성과 네트워크 신뢰를 유지하기 위한 핵심 안전장치입니다.
📌 1. 슬래싱 감시 소프트웨어의 개념
- 슬래싱 감시(Slashing monitoring) 소프트웨어는 검증자(Validator)가 프로토콜 규칙을 준수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기록합니다.
- 특히 PoS 기반 네트워크(Ethereum, Cosmos, Polkadot 등)에서는 필수적인 보안 수단으로, 검증자가 프로토콜을 위반하면 자동으로 감지하고 네트워크에 보고합니다.
대표적인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네트워크 | 대표적인 슬래싱 감시 소프트웨어 |
---|---|
Ethereum | Beaconcha.in Slasher, Prysm Slasher, Lighthouse Slasher |
Cosmos | Cosmos SDK Slashing Module, Tenderduty |
Polkadot | Substrate-based Slashing Module, Validator Monitoring Tools |
📌 2. 검증 및 감사 원리
슬래싱 감사 소프트웨어의 주요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증명(Attestation) 데이터의 정합성 체크
- 각 검증자는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증명(attestation)**을 정기적으로 제출합니다.
- 감사 소프트웨어는 이 증명이 서로 모순되지 않는지 지속적으로 감시합니다.
예시:
같은 슬롯(slot)에 두 가지 다른 블록을 지지한 증명(attestation)이 발견되면 즉시 슬래싱 대상이 됩니다.
② 블록 제안(Proposer) 행동 감시
- 특정 슬롯에서 블록을 생성하는 검증자(proposer)가 하나의 슬롯에 두 개 이상의 블록을 제안하는지 감시합니다.
- 검증자가 여러 블록을 동시에 제출하면 즉시 적발되어 슬래싱 대상입니다.
📌 3. 감사 소프트웨어가 악의적 행동을 발견하는 방법
감사 소프트웨어가 슬래싱 가능한 악의적 행동을 발견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블록체인 상태 실시간 감시
- 블록 및 증명(attestation)을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저장합니다.
- 정합성 분석
-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순된 행동을 감지합니다.
- 예: 동일한 슬롯에 서로 다른 블록에 서명하거나, 체크포인트 투표에서 이중 투표를 감지하는 등입니다.
- 슬래싱 리포트 제출
- 위반 사항을 발견하면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슬래싱 증거를 제출하여 즉각적으로 벌칙을 부과합니다.
- 네트워크는 이 리포트를 검증 후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검증자의 지분을 삭감합니다.
📌 4. 사례: Ethereum에서의 슬래싱 감시 소프트웨어
- Beaconcha.in Slasher:
- 검증자들이 제출한 증명을 모두 모니터링하여 프로토콜 위반을 자동 탐지하고 리포트합니다.
- Prysm/Lighthouse Slasher:
- 노드 클라이언트 내 통합된 슬래싱 감시 모듈로, 검증자의 행동이 프로토콜과 일치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탐지하고 리포트를 제출합니다.
📌 5. 슬래싱 감사 소프트웨어의 역할과 중요성
슬래싱 소프트웨어의 목적은 악의적이거나 비정상적인 행동을 빠르게 탐지하고 처리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주요 역할 | 세부 설명 |
---|---|
실시간 네트워크 모니터링 | 모든 검증자 활동 기록 및 분석 |
프로토콜 위반 즉각 탐지 | 자동화된 알고리즘으로 즉시 탐지 |
위반사항 리포트 및 신고 | 프로토콜에 따라 자동으로 보고 |
보안 및 투명성 강화 | 네트워크의 신뢰성 유지 |
📌 6. 정리 및 결론
- 슬래싱 감사 소프트웨어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검증자들의 악의적 행위를 빠르게 탐지합니다.
-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규칙 위반을 감시하고, 위반 즉시 자동으로 벌칙을 부여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네트워크 신뢰도와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