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화폐 휴지조각” 주장의 역사적 분석

전 세계적으로 화폐가 휴지조각이 될 것이라는 주장은 경제학자, 투자자, 예언가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주장들을 시대순과 주요 인물별로 정리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최근 주요 인물들의 화폐 붕괴 경고

레이 달리오 (Ray Dalio)의 달러 체제 붕괴 경고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 창업자인 레이 달리오는 2025년 현재 가장 주목받는 화폐 위기 경고자 중 하나입니다123. 그는 “미국이 세계 최대 제조업 소비국이자 최대 부채 발행국으로서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교역국들이 계속해서 미국에 상품을 판매하고 달러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는 순진한 생각”이라고 주장했습니다23.

달리오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통화, 정치, 국제 질서를 균열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며, “되돌릴 수 없는 손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수출입 국가들이 상호 의존성을 줄이고 대안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23.

그의 신작 『빅 사이클』에서는 “오늘날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는 역사상 13번째 대규모 부채 사이클의 끝자락에 서 있다”며, “대규모 장기 부채 사이클은 항상 대규모 부채 위기와 붕괴로 이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4.

피터 쉬프 (Peter Schiff)의 달러 종말 주장

비트코인 회의론자로 유명한 경제학자 피터 쉬프는 지속적으로 달러의 몰락을 예측해왔습니다56. 그는 2025년 6월 “미국 달러의 지배가 끝나가고 있음을 시사하며, 미국의 삶은 많은 사람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6.

쉬프는 금을 단순한 상품이 아닌 통화로 보며, 금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할 의도를 밝히기도 했습니다5. 그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이해하지 못한다. 왜 결함이 있는 법정화폐인 달러로 뒷받침된 토큰에 만족하겠나?”라며 달러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표현했습니다5.

해리 덴트 (Harry Dent)의 극단적 붕괴 예측

‘인구 절벽’의 저자 해리 덴트는 가장 극단적인 시장 붕괴를 예측하는 인물 중 하나입니다789. 그는 2024년부터 지속적으로 “일생일대의 폭락”을 경고해왔으며, “S&P 500지수는 고점 대비 86%, 나스닥은 92% 하락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9.

덴트는 “1925년부터 1929년까지는 자연스러운 거품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상황”이라며, “이 거품이 꺼지면 2007~2008년 금융 위기를 넘어설 수 있다”고 예측했습니다9.

2. 한국 투자전문가들의 경고

유신익 박사의 화폐 휴지조각 경고

유신익 박사는 2025년 5월 “곧 전세계 화폐 휴지조각 된다”는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며 화폐 위기를 경고했습니다1011. 그는 “신용화폐적 기능이 더 중요해지는 세상이 되다 보니까 전통 화폐에 대한 가치는 효용도는 떨어지는 거죠”라며, “전 세계가 똑같은 형국입니다”라고 분석했습니다10.

유신익 박사는 “중앙은행이 할 수 있는 역할은 이제 돈을 풀거나 아니면 돈을 더 풀거나 선택의 여지가 없어졌다”며, “그 화폐를 부정하고 새로운 화폐를 채택할 수밖에 없는 형국으로 가는 것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10.

오태민과 홍춘욱의 한국은행 비상 경고

오태민과 홍춘욱 등 한국의 경제 전문가들도 “한국은행 초비상” 상황을 언급하며 전 세계 화폐가 휴지조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1213.

3. 글로벌 금융 위기 예측자들의 경고

누리엘 루비니 (Nouriel Roubini)의 화폐 위기 경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견한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는 지속적으로 화폐 시스템의 위험성을 경고해왔습니다1415.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인플레를 가중시킬 수 있다”며, “관세 부과와 이민 규제 등이 장기 국채 수익률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14.

헨릭 제버그의 거품 붕괴 경고

거시경제 전문가 헨릭 제버그는 “미국 경제에 약 100년 만에 가장 큰 거품이 형성됐다”며, “2008년 금융 위기 당시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109%였던 반면, 현재는 200%에 달한다”고 지적했습니다16.

4. 역사적 화폐 붕괴 사례와 패턴

페트로달러 시스템의 균열

전문가들은 1970년대 이후 지속된 페트로달러 시스템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고 분석합니다17. 린 알덴 등 애널리스트들은 “페트로달러 시스템에 균열이 생기고 있고, 미국 내부에서 달러 공급이 늘고 있어 향후 5년간 달러 약세가 더 강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17.

영국 파운드화의 몰락 사례

역사적으로 기축통화의 몰락 사례로는 영국 파운드화가 있습니다18.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은 “경제적으로나 재정적으로 약화한 상태였고, 전쟁 전 수준의 여섯 배에 달하는 국내총생산(GDP)의 130%에 달하는 공공 부채를 떠안았다”며, 이로 인해 기축통화 지위를 상실했습니다18.

5. 미국 달러 붕괴의 구체적 위험 요소들

국가 부채 증가

미국의 국가 부채는 “2025년 초 36조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IMF는 2030년까지 세계 공공부채가 GDP의 100%에 근접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19.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더 많이 빌릴수록 부채 상환 능력에 대한 신뢰를 잃을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합니다20.

탈달러화 움직임

BRICS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탈달러화 움직임도 주요 위험 요소로 지적됩니다2018. “중국, 러시아 및 기타 국가는 국제 무역과 금융에서 달러에 대한 대안을 모색했으며, BRICS 국가들은 달러의 지배력에 도전하기 위해 새로운 준비 통화를 만드는 것에 대해 논의했습니다”20.

관세 정책과 무역 전쟁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도 달러 약세 요인으로 지목됩니다2021. “수입 상품에 대한 공격적인 관세로 인해 무역 긴장이 고조되어 미국 경제와 통화에 대한 신뢰가 훼손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20.

6. 현재 달러 약세 현실화

실제로 2025년 현재 달러 약세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2122. “올해 들어서 달러 가치는 4.2% 폭락했으며, 같은 기간 하락률로는 2008년 이후 가장 높다”고 보고되었습니다21. “달러인덱스는 202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올해 들어 달러지수는 약 10% 하락하며 사상 최악의 연초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22.

결론

전 세계 화폐 휴지조각 주장은 단순한 공포 조장이 아닌, 구조적 경제 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진지한 우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급증하는 부채, 탈달러화 움직임, 지정학적 갈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달러 중심 화폐 체제에 대한 의문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124. 다만 이러한 예측들의 시기와 정도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태입니다.

  1. https://www.blockstreet.co.kr/news/view?ud=2025042913590173765
  2. https://news.nate.com/view/20250429n24382
  3.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3998
  4.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1339651
  5. https://kr.benzinga.com/crypto/altcoins/%ED%94%BC%ED%84%B0-%EC%89%AC%ED%94%84-%EA%B8%88-%EC%97%B0%EB%8F%99-%EC%8A%A4%ED%85%8C%EC%9D%B4%EB%B8%94%EC%BD%94%EC%9D%B8-%EC%B6%9C%EC%8B%9C-%EC%9D%98%EC%82%AC-%EB%B0%9D%ED%98%80/
  6.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3225&rf=upbit
  7. https://www.yna.co.kr/view/AKR20240611037400009
  8. https://awarelab.io/harrydent-says-marketwillcrash/
  9. https://www.jej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5331
  10. https://www.youtube.com/watch?v=BlkMp5QkWt4
  11. https://www.youtube.com/watch?v=b-wv-lh8kSw
  12. https://www.youtube.com/shorts/QtPX1cM16Fw
  13. https://www.youtube.com/watch?v=hbLjnbyUnmY
  14. https://www.special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554
  15. https://news.nate.com/view/20190404n24431
  16.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6000
  17. https://www.dndn.io/blog/1129
  18. https://economy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9/25/2023092500038.html
  19.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8814
  20. https://www.ebc.com/kr/forex/163072.html
  21.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5193
  22. https://m.edaily.co.kr/News/ReadM?mediaCodeNo=257&newsId=01430086642201392&kakao_from=mainnews
  23. https://www.youtube.com/watch?v=JbnKpC2p9VU
  24. https://mrkimkim.com/activity/%EC%9C%84%EA%B8%B0%EC%9D%98-%EC%8B%9C%EB%8C%80-%EB%8F%88%EC%9D%98-%EB%AF%B8%EB%9E%98-%EC%A7%90-%EB%A1%9C%EC%A0%80%EC%8A%A4/
  25. https://www.dogdrip.net/636743944
  26. https://www.youtube.com/watch?v=ulsTcUkvAWY
  27. https://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68
  28. http://incheonntv.com/Upload/uploadBanner/150706_kyeongin.pdf
  29. https://blog.naver.com/jeunkim/223510029516
  30. https://www.youtube.com/watch?v=WwMdiCNNjqk
  31. https://blog.naver.com/fss2009/140122581913
  32. https://www.chosun.com/opinion/economic_focus/2025/05/28/66G3IFLL3BDNJD3N5GWMWWN3UE/
  33. http://media.nodong.org/news/articleView.html?idxno=9528
  34. https://blog.naver.com/kpfjra_/223117750190
  35. https://sgsg.hankyung.com/series/1509001022
  36. https://www.youtube.com/watch?v=QzH251SfQgk
  37. https://www.youtube.com/watch?v=OsPPi0uUag0
  38. https://blog.naver.com/jeong_e/222646187404
  39. https://www.youtube.com/watch?v=C6KUsA8stxU
  40. https://lilys.ai/notes/553630
  41. https://www.youtube.com/watch?v=OCrzGtTWPcs
  42. https://www.coinreaders.com/157765
  43. https://library.kaist.ac.kr/search/ctlgSearch/posesn/view.do?bibctrlno=646999&se=b0&ty=B
  44. https://www.segye.com/newsView/20120309021986
  45. https://media.naver.com/press/023?sid=101
  46.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35208
  47. https://m.ekn.kr/view.php?key=20240611021503698
  48. https://news.cpbc.co.kr/article/821666
  49. https://shindonga.donga.com/3/all/13/4386445/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