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runch.co.kr/@hajunho/1025
수천억을 벌고도 성의 없는 그들
평균 연봉 3억원. 이것이 일부 대형 코인 거래소 임직원들의 현실이다. 회사는 수천억의 매출을 올리고, 수백억을 연봉으로 나눠가진다. 그런데 이들이 만들어내는 콘텐츠를 보면 기가 막힐 노릇이다.
Copyright 인공지능? 진짜로?
가장 웃긴 건 저작권 표시다.
일반적인 회사라면 “Copyright 2025 ○○○ Inc. All Rights Reserved” 이런 식으로 쓸 텐데, 이들은 대놓고 **”copyright 인공지능”**이라고 적어놓는것과 같다. 가장 중요한 날짜 넣기도 귀찮아 한다.
수천억을 벌면서도 기본적인 법무 검토조차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니면 인공지능이 만든 콘텐츠를 그냥 복붙해서 올리고 있다는 얘기다. 둘 다 한심하기는 마찬가지다.
복붙의 달인들
더 가관인 건 다른 곳에서 가져온 콘텐츠 관리다.
2023년 자료를 2025년에 그대로 올리면서 연도 수정하기도 귀찮아한다. 심지어 다른 거래소 이름이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도 봤다. 연봉 3억을 받으면서 Ctrl+H 한 번 누르기도 싫은 모양이다.
이런 식이다:
- “2023년 비트코인 전망은…” (2025년 게시글에서)
- “○○코인 거래소에서는…” (자기 회사가 아닌 다른 거래소 언급)
- 명백히 다른 사이트에서 가져온 이미지들의 워터마크
고객은 호구, 콘텐츠는 장식
이들에게 고객은 그냥 돈 뽑아내는 ATM일 뿐이다.
투자 교육이나 시장 분석 같은 콘텐츠는 그냥 있어 보이기 위한 장식품이다. 실제로는 AI가 만든 글이나 다른 곳에서 베낀 글을 대충 올려놓고, 진짜 수익은 거래 수수료와 스프레드에서 뽑아낸다.
금감원도 갈 때까지 갔나
더 기가 막힌 건 금융감독원의 무기력함이다.
이런 대충대충 운영하는 거래소들이 수천억을 벌어도 제대로 된 제재 하나 없다. 금감원이 있긴 한 건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뽀큐라 ㅋㅋ” 이런 마음이 드는 게 당연하다. 규제 기관이 제 역할을 못하니까 이런 인간 말종들이 판을 치는 거다.
진짜 문제는 구조적 모순
정보의 비대칭성 악용
일반 투자자들은 복잡한 암호화폐 시장을 이해하기 어렵다. 거래소들은 이런 정보 격차를 악용해서 불투명한 수수료 구조와 조작 가능한 호가창으로 이익을 극대화한다.
책임 회피의 예술
문제가 생기면 언제나 “시장 변동성” 탓이다.
- 서버 다운? “트래픽 폭증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
- 이상한 거래? “시장 메이커의 정상적 거래”
- 고객 손실? “투자는 본인 책임”
수천억 벌 때는 자기 능력, 문제 생기면 시장 탓. 이보다 완벽한 책임 회피가 어디 있나.
로비와 인맥의 힘
이들이 이렇게 대충해도 살아남는 이유는 정치적 로비와 관료 출신 임원진 때문이다.
금감원 고위직 출신들이 고문이나 임원으로 영입되고, 정치권과의 끈끈한 관계를 유지한다. 그러니까 진짜 제재는 나오지 않는 거다.
대한민국 최고 부자, 그리 어렵지 않다
이런 현실을 보면 한국에서 최고 부자가 되는 게 그리 어렵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진짜 가치 창출 없이도:
- 정보 비대칭 악용하기
- 규제 기관과 유착하기
- 고객을 호구로 보기
- 최소한의 성의도 안 보이기
이런 식으로도 수천억을 벌 수 있다면, 제대로 된 사업을 하는 사람은 얼마나 더 성공할 수 있을까?
카카오 계열인데 이 글 잘리려나?
웃긴 건 이런 비판을 해도 진짜 변화는 없다는 점이다.
카카오 같은 대기업 계열 플랫폼에서는 이런 글이 **”부정적 여론 조성”**이라는 이유로 삭제될 수도 있다. 결국 돈의 힘이 모든 걸 좌우하는 구조다.
하지만 그래도 말해야 한다. 이런 게 정상이 아니라고.
그들이 두려워하는 것
이런 거래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건 투명성이다.
- 실제 거래량 공개
- 수수료 구조 투명화
- 서버 안정성 실시간 모니터링
- 경영진 자산 공개
- 정치적 후원금 투명화
진짜 경쟁력이 있다면 이런 것들을 공개하는 게 오히려 도움이 될 텐데, 숨기고 싶어 한다는 건 그만큼 감출 게 많다는 얘기다.
결론적으로, 이들은 기술 회사가 아니라 금융 브로커에 가깝다. 혁신이나 가치 창출보다는 중간 수수료로 먹고사는 구조다.
그런데 그 와중에도 최소한의 성의조차 보이지 않는다면, 이들에게 투자자의 소중한 자산을 맡겨도 되는 걸까?
답은 뻔하다. 절대 안 된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