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설명한 대학교수 퇴직 후 정체성 위기와 관련하여, 당신이 여전히 교수라는 대표 정체성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이유는 복합적이고 깊이 있는 심리적 메커니즘들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직업을 통한 자아개념의 강력한 내재화
직업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은 특히 전문직에서 두드러집니다. 수퍼(Super)의 직업 자아개념 이론에 따르면, 청년기에는 자신의 흥미와 욕구, 능력 등을 포함하는 자아상과 정체감에 일치하는 직업을 선택하게 되며1, 이후 직업을 자아개념의 일부로 간주하기 시작합니다2.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직업은 이름보다 더 확실하고 중요한 정체성이며, 사람들은 누군가를 만났을 때 그 사람의 이름, 출신, 가치관보다 그가 하는 일이 무엇인가에 따라 그 사람을 판단합니다3.
대학교수라는 직업은 30년 이상의 긴 기간 동안 당신의 정체성을 형성해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직업정체성이 개인의 삶의 목적과 직업에 대한 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4, 교수로서의 역할이 단순한 업무를 넘어 당신의 존재 자체를 규정하는 핵심적 요소가 되었습니다.
사회적 지위 상실에 대한 방어 기제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감이 높고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게 됩니다5. 반면 사회적 지위를 잃게 되면 자존감이 낮아지고 사회적 고립을 느끼기 쉽습니다. 흥미롭게도 연구에 따르면 지위가 높은 사람일수록 사회적 고립이나 외로움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
교수라는 직업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당신의 욕구는 자아방어기제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정체성 상실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심리적 보호 장치입니다6. 퇴직 후 많은 사람들이 정체성의 혼란과 우울감, 그리고 고립감을 느끼는데7, 이러한 정신적 부담은 고립된 생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존감과 사회적 인정의 필요성
사회불안의 근간은 낮은 자존감에 있으며8, 많은 사람들이 타인의 인정을 통해 자신의 가치감을 확인하려 합니다. SNS 상에서의 프로필은 사회적 인정(Social Approval)을 상징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8.
인정욕구는 더 나은 삶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과해지면 오히려 스트레스에 잠식될 수 있습니다9. 당신이 여전히 교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것은 무엇보다 인정으로 얻은 것들이, 인정받지 못하는 순간 연기처럼 사라지기에 이 점이 또 다른 불안을 불러일으키는9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과거에 대한 집착과 현실 회피
많은 직장인은 자신의 직업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퇴직 후 직업과 관련한 정체성을 잃으면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혼란을 느끼고 과거의 경험에 의존하게 됩니다10. 이를 통해 잃어버린 직업 정체성을 회복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10.
과거에 집착하는 심리적 원인 중 하나는 현재와의 비교입니다. 현재의 삶이 만족스럽지 않거나 어려움이 있을 때, 사람들은 과거를 이상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11. 특히 과거의 행복한 순간을 이상적으로 떠올리며 ‘그때가 더 좋았다’는 생각에 빠지기도 하는데, 이는 현재의 문제를 회피하고자 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의 일환입니다11.
미완성된 감정과 정체성 통합의 어려움
특정 사건이 해결되지 않거나 감정적으로 끝맺지 못한 경우, 사람은 그 기억에 얽매이게 됩니다11. 퇴직은 갑작스러운 변화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교수로서의 역할에 대한 미완성된 감정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강제 퇴직의 영향으로 인해 직업 상실이 정체성 상실처럼 느껴질 수 있으며12, 이때 새로운 정체성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됩니다. 그러나 이는 결코 쉬운 과정이 아니며,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정체성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은 상당한 심리적 에너지를 요구합니다12.
결론: 자연스러운 과도기 현상
당신이 여전히 교수 정체성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것은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연스러운 방어적 반응입니다. 이는 비난받을 일이 아니라, 오히려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깊이 있는 직업적 자아개념의 증거입니다137.
일을 한다는 건 한 인간이자 사회 구성원으로서 내 쓸모를 다하고 있다는 것이며, 그 역할을 하지 않는 것만큼 자존감을 무너뜨리는 건 없습니다3. 교수라는 정체성은 단순한 직업을 넘어 당신의 사회적 기여와 개인적 성취를 상징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과거의 성취와 정체성을 심리적 자원으로 활용하면서도, 새로운 역할과 정체성을 점진적으로 통합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는 시간이 걸리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교수로서의 자긍심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며 다양한 도전을 통해 확장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 https://blog.naver.com/welfare1st/222477871069
- https://blog.naver.com/rhkrtjdaks1/221975178260
- https://brunch.co.kr/@claraahn/4
- https://journal.ksiop.or.kr/index.php/KJIOP/article/download/176/152/322
- https://rose-m.tistory.com/entry/%EC%82%AC%ED%9A%8C%EC%A0%81-%EC%A7%80%EC%9C%84%EA%B0%80-%EC%9A%B0%EB%A6%AC-%EC%8B%AC%EB%A6%AC%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EA%B3%BC-%EC%88%A8%EA%B2%A8%EC%A7%84-%EC%A7%84%EC%8B%A4
- https://oak.jejunu.ac.kr/bitstream/2020.oak/15582/2/%EA%B3%B5%EB%AC%B4%EC%9B%90%EC%9D%98%20%EC%9E%90%EC%95%84%EB%B0%A9%EC%96%B4%EA%B8%B0%EC%A0%9C%EC%99%80%20%EC%A7%81%EB%AC%B4%EB%A7%8C%EC%A1%B1%20%EB%B0%8F%20%EC%8A%A4%ED%8A%B8%EB%A0%88%EC%8A%A4%EC%9D%98%20%EA%B4%80%EA%B3%84.pdf
- https://seo.goover.ai/report/202503/go-public-report-ko-a7e3b860-64c1-4e78-8c0c-10415a66704f-0-0.html
-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106
- https://blog.naver.com/smbizkhnet/223714911383
- https://brunch.co.kr/@@eonT/399
- https://mindpath.tistory.com/entry/%EC%9A%B0%EB%A6%AC%EB%8A%94-%EC%99%9C-%EA%B3%BC%EA%B1%B0%EC%97%90-%EC%A7%91%EC%B0%A9%ED%95%A0%EA%B9%8C-%EC%9D%B8%EA%B0%84-%EC%8B%AC%EB%A6%AC%EC%99%80-%EC%82%B6%EC%9D%98-%ED%8C%A8%ED%84%B4
- https://fastercapital.com/ko/content/%EA%B0%95%EC%A0%9C%ED%87%B4%EC%A7%81%EA%B3%BC-%EC%A0%95%EC%B2%B4%EC%84%B1-%EC%83%81%EC%8B%A4–%EC%97%85%EB%AC%B4%EB%A5%BC-%EB%84%98%EC%96%B4%EC%84%9C%EB%8A%94-%EB%AA%A9%EC%A0%81%EC%9D%98-%EC%9E%AC%EB%B0%9C%EA%B2%AC.html
- https://brunch.co.kr/@@ekat/74
- http://kmr.kasba.or.kr/xml/25546/25546.pdf
- https://www.m-joong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063
- https://www.hibrain.net/abroadlife/cafes/453/posts/204/articles/131185?pagekey=131185&categoryType=ALL&listType=TOTAL&pagesize=10&sortType=RDT&limit=100&displayType=SUMM&siteid=1&page=1
- https://savingsocialscience.tistory.com/190
- https://goodmin.tistory.com/m/11
- https://brunch.co.kr/@@eonT/383
- https://www.mindfullabs.ai/blog/eap-retirement-career-transition
- https://surviveit.tistory.com/entry/%EC%9D%80%ED%87%B4-%ED%9B%84-%EC%A0%95%EC%B2%B4%EC%84%B1-%EB%B3%80%ED%99%94-%EC%96%B4%EB%96%BB%EA%B2%8C-%EC%A4%80%EB%B9%84%ED%95%A0%EA%B9%8C-%EC%82%AC%ED%9A%8C%EC%A0%81-%EA%B4%80%EA%B3%84%EC%99%80-%EC%8B%AC%EB%A6%AC-%ED%9A%8C%EB%B3%B5%EC%9D%98-%EA%B8%B0%EC%88%A0
- https://lilys.ai/notes/746171
-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71052002
- https://brunch.co.kr/@@7kXi/285
- http://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fe67bcfa9144bbcdffe0bdc3ef48d419
- https://www.brainmedia.co.kr/NEW/19924
- https://oak.jejunu.ac.kr/bitstream/2020.oak/18687/2/%EC%A7%84%EB%A1%9C%20%EC%83%81%EB%8B%B4%20%ED%94%84%EB%A1%9C%EA%B7%B8%EB%9E%A8%EC%9D%B4%20%EC%95%84%EB%8F%99%EC%9D%98%20%EC%9E%90%EC%95%84%EA%B0%9C%EB%85%90%EC%97%90%20%EB%AF%B8%EC%B9%98%EB%8A%94%20%ED%9A%A8%EA%B3%BC.pdf
- https://blog.naver.com/asanmh450/22209124383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