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수 퇴직 후 SNS 프로필에 계속 ‘대학교수’를 표시하는 심리적 배경

대학교수로 정년퇴직한 후에도 SNS 프로필에 계속해서 ‘대학교수’라는 직업을 표시하는 행동에는 여러 복합적인 심리적 요인들이 작용합니다. 이는 단순한 습관이나 무의식적 행동이 아니라, 정체성 위기와 사회적 지위 상실에 대한 방어적 반응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직업 정체성의 강력한 내재화

대학교수라는 직업은 다른 직업들과 비교해 특별히 강한 정체성을 형성합니다1. 현대 사회에서 직업은 이름보다 더 확실하고 중요한 정체성이며, 사람들은 누군가를 만났을 때 그가 하는 일이 무엇인가에 따라 그 사람을 판단합니다1. 특히 대학교수는 한국 사회에서 유독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어2, 교수직에 임용된 후 40대 중후반부터는 65세 정년까지 상당한 권위와 존경을 누리게 됩니다2.

퇴직으로 인한 정체성 혼란과 위기

퇴직은 **”사회적 죽음”**이라고 표현될 만큼 개인에게 중대한 변화를 가져옵니다3. 오랫동안 직장에서 쌓아온 경험과 역할이 사라지면서 자아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됩니다4. 퇴직자들이 가장 많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나는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라는 질문으로, 직업을 통해 형성된 자아 정체성을 잃게 되면서 혼란을 경험합니다45.

퇴직 후 직업적 지위에 따른 정체감 변화에 적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입니다6. 은퇴는 자아정체감을 지탱해왔던 직업적 지위를 상실하게 되는 큰 변화이므로, 자존감의 저하가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6.

사회적 지위 상실에 대한 방어 기제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감이 높고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게 됩니다7. 반면 사회적 지위를 잃게 되면 자존감이 낮아지고 사회적 고립을 느끼기 쉽습니다7. 흥미롭게도 연구에 따르면 지위가 높은 사람일수록 사회적 고립이나 외로움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8.

퇴직 남성들은 퇴직 후 자신이 점점 왜소해지고 작아진다는 느낌을 갖는다고 보고합니다9. 가장으로서 책임을 다 못한다는 느낌이 들면서 소극적이 되고, 가족들에게 보이는 모습이 왜소해지고 작아진다고 느끼게 됩니다9.

SNS를 통한 사회적 인정 추구

SNS 상에서의 프로필은 **사회적 인정(Social Approval)**을 상징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10. 높은 인정욕구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의심하게 되고, 다른 사람의 인정을 통해 자신의 가치감을 확인하려 합니다11.

전문직 은퇴 여성들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들이 퇴직 후에도 직업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강한 의지를 보인다고 밝혔습니다12. 전문직 은퇴 여성들은 퇴직 후 전업주부가 되는 것을 자신의 중심 역할로 여기지 않았고, 이전 직업과 관련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재취업뿐만 아니라 취미, 봉사, 연구활동에도 활용했습니다12.

새로운 정체성 형성의 어려움

장기복무 장교들의 퇴직 후 경험을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퇴직 후 **’역할이 없는 역할’**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서툼과 어색함을 경험하게 됩니다13. 연구 참여자들은 퇴직 후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기존에 알고 있던 자기 모습과 다른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게 되면서 혼란을 경험했습니다13.

직업지위에 기반하지 않는 새로운 자아정체감 형성이 은퇴 후 적응에 중요하지만6, 이는 결코 쉬운 과정이 아닙니다. 특히 30년 이상 한 직업에서 일한 뒤 퇴직하게 되면, 그 직업에서 전통적으로 익혀온 기술과 지식이 무의미하게 느껴질 수 있어 우울증이나 불안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4.

결론

대학교수 퇴직 후에도 SNS 프로필에 계속해서 ‘대학교수’를 표시하는 행동은 정체성 위기에 대한 방어적 반응이자 사회적 지위 상실에 대한 보상 심리로 해석됩니다. 이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과도기적 현상으로, 과거의 성취와 지위를 통해 자존감을 유지하려는 심리적 욕구의 표현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시간이 지나면서 군인정신과 장교의 자긍심을 바탕으로 ‘새로운 나’를 만들어가는 것처럼13, 교수로서의 자긍심을 심리적 자원으로 활용하면서도 새롭게 자기다움을 추구하며 다양한 도전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 질문하기

  1. https://brunch.co.kr/@claraahn/4
  2. https://m.hibrain.net/braincafe/cafes/38/posts/205/articles/508839?redirectUrl=%2Flogins%2Fcomplete
  3. https://brunch.co.kr/@jkyoon/322
  4. https://www.mindfullabs.ai/blog/eap-retirement-career-transition
  5. https://brunch.co.kr/@@eonT/393
  6. http://contents2.kocw.or.kr/KOCW/data/document/2019/hanseo/kimyunjeong0803/11.pdf
  7. https://rose-m.tistory.com/entry/%EC%82%AC%ED%9A%8C%EC%A0%81-%EC%A7%80%EC%9C%84%EA%B0%80-%EC%9A%B0%EB%A6%AC-%EC%8B%AC%EB%A6%AC%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EA%B3%BC-%EC%88%A8%EA%B2%A8%EC%A7%84-%EC%A7%84%EC%8B%A4
  8.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9236
  9. https://blog.naver.com/sandtimer/223680047623
  10. https://bottonsalam.tistory.com/entry/SNS-%EC%8B%AC%EB%A6%AC-%ED%95%B4%EB%B6%80-%EC%8B%9C%EB%A6%AC%EC%A6%88-8-SNS%EC%99%80-%EC%9E%90%EC%A1%B4%EA%B0%90-%ED%8C%94%EB%A1%9C%EC%9B%8C-%EC%88%98%EC%97%90-%EB%94%B0%EB%9D%BC-%ED%9D%94%EB%93%A4%EB%A6%AC%EB%8A%94-%EB%82%98
  11. https://blog.naver.com/ppmo2911/223395630206
  12.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c9eb06c862fa73216aae8a972f9116fb
  1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7680
  14. https://seo.goover.ai/report/202503/go-public-report-ko-a7e3b860-64c1-4e78-8c0c-10415a66704f-0-0.html
  15. https://brunch.co.kr/@@eonT/383
  16. https://brunch.co.kr/@df4f8bf714884a9/27
  17. https://blog.naver.com/hyeoni0822/221510931674
  18. https://www.dbpia.co.kr/journal/detail?nodeId=T14804605
  19. https://o2zon.tistory.com/1805
  20. https://mypr.tistory.com/52
  21. https://brunch.co.kr/@@ekat/122
  2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41217
  23. https://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73715
  24. https://www.peoplepower21.org/welfarenow/1982311
  25. https://blog.naver.com/gmtsdk/223769849383?fromRss=true&trackingCode=rss
  26. https://journal.ksiop.or.kr/index.php/KJIOP/article/download/176/152/322
  27. https://brunch.co.kr/@@dnP7/60
  28. https://fastercapital.com/ko/content/%EA%B0%95%EC%A0%9C%ED%87%B4%EC%A7%81%EA%B3%BC-%EC%A0%95%EC%B2%B4%EC%84%B1-%EC%83%81%EC%8B%A4–%EC%97%85%EB%AC%B4%EB%A5%BC-%EB%84%98%EC%96%B4%EC%84%9C%EB%8A%94-%EB%AA%A9%EC%A0%81%EC%9D%98-%EC%9E%AC%EB%B0%9C%EA%B2%AC.html
  29. https://brunch.co.kr/brunchbook/francisco6
  30. https://surviveit.tistory.com/entry/%EC%9D%80%ED%87%B4-%ED%9B%84-%EC%A0%95%EC%B2%B4%EC%84%B1-%EB%B3%80%ED%99%94-%EC%96%B4%EB%96%BB%EA%B2%8C-%EC%A4%80%EB%B9%84%ED%95%A0%EA%B9%8C-%EC%82%AC%ED%9A%8C%EC%A0%81-%EA%B4%80%EA%B3%84%EC%99%80-%EC%8B%AC%EB%A6%AC-%ED%9A%8C%EB%B3%B5%EC%9D%98-%EA%B8%B0%EC%88%A0
  31.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563230
  32. https://brunch.co.kr/@jmg5308/422
  33. https://www.youtube.com/watch?v=YuS_avtJOdU
  34. https://www.tiktok.com/discover/%EA%B0%91%EC%9E%90%EA%B8%B0-%EC%9D%B8%EC%8A%A4%ED%83%80-%EC%97%B4%EC%8B%AC%ED%9E%88-%ED%95%98%EB%8A%94-%EC%9D%B4%EC%9C%A0
  35. https://newneek.co/@iron_creator/article/15044
  36. https://www.hibrain.net/braincafe/cafes/38/posts/204/articles/422394?pagekey=422394&listType=TOTAL&pagesize=10&sortType=RDT&limit=25&displayType=QNA&siteid=1&page=1
  37.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GT200501132
  38. https://www.law.go.kr/LSW/detcInfoP.do?detcSeq=130713&mode=1
  39. https://blog.naver.com/gmtsdk/223825200908?fromRss=true&trackingCode=rss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