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테이블코인이란?
1.1 정의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특정 자산에 연동되어 가격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암호화폐입니다. 변동성이 큰 일반 암호화폐(BTC, ETH 등)와 달리, 다음과 같은 목적에 활용됩니다:
- 디지털 결제 수단
- 가치 저장 수단
- DeFi 시스템의 기초 자산
1.2 주요 유형
유형 | 설명 | 예시 |
---|
법정화폐 담보형 | 은행에 실제 USD 등 실물 자산을 1:1 예치 | USDT, USDC |
암호화폐 담보형 | 다른 암호화폐를 담보로 과잉담보를 설정 | DAI |
알고리즘 기반형 | 코인의 수요·공급을 조절하는 알고리즘으로 가치 유지 | Terra (망함) |
실물 자산 담보형 | 금, 부동산, 방송장비 등 실제 물리적 자산을 기반으로 발행 | PAXG, 실험적 RWA 토큰 등 |
2. 방송 장비를 활용한 RWA 기반 코인 발행 가능성
2.1 아이디어 개요
- 방송 장비를 담보로 하여 가치를 일정 수준 유지하는 디지털 자산(코인) 발행
- EX Corporation 자체 보유 장비 혹은 렌탈 자산을 기반으로 DeFi 유틸리티 제공
- OK캐쉬백, 도토리처럼 폐쇄 생태계에서 실사용 가능성을 갖는 구조
2.2 핵심 고려 요소
고려 요소 | 설명 |
---|
자산 가치 평가 | 장비 감정 기준, 감가상각 반영 |
환금 가능성 | 장비를 실제 유동화 가능한 구조 설계 |
사용처 | 내부 서비스 결제, 리워드, 할인 등 |
투명성 | 실물 자산 존재 증빙, 회계 감사 필요 |
법적 구조 | 토큰이 유틸리티인지 증권인지 분류 필요 (국내·해외 규제 고려) |
3. 준스테이블 / RWA 기반 구조 설계 예시
3.1 GEAR 코인 (예시 토큰 설계)
- 코인 이름: GEAR
- 총발행량: 1,000,000,000개
- 토큰 표준: ERC-20 또는 BEP-20
- 담보: 방송 장비 및 그 대여 수익
- 사용처:
- 플랫폼 내 대여 결제
- NFT 광고 단가 결제
- 리워드 지급
- 메타버스 콘텐츠 이용료
3.2 발행 비율 설계 (예시)
분류 | 비율 |
---|
재단 보유 | 20% |
파트너십/운영 | 15% |
개발 | 15% |
마케팅 | 10% |
퍼블릭 세일 | 20% |
프리세일 | 10% |
리워드/생태계 | 10% |
4. 코인 상장 계획서 검토 요약
4.1 러시아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 계획서 주요 내용
- 발행 주체: 러시아 금융기관, 코답스뱅크, 바이낸스
- 담보 자산: 금 (10조 원 규모), LBMA 가격에 연동
- 재단: 싱가포르 설립
- 상장 목표: BingX, Binance, Coinbase, Upbit
4.2 문제점 및 리스크
항목 | 설명 |
---|
실물 금 존재 증빙 불명확 | LBMA와의 계약 또는 금 실물 보관 구조 없음 |
파트너사 검증 불충분 | 바이낸스 등 유명 거래소 실명 계약 여부 미확인 |
제재 리스크 | 러시아 관련 자산은 국제 규제 대상 가능성 |
기술 스펙 미비 | 스마트컨트랙트, 토큰 세부 구조 미공개 |
투기적 블록세일 구조 | 락업 조건 약함, 공정한 분배 구조 아님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