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 것이 정확합니다. 토큰 보유량에 비례한 투표권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확실히 PoS 시스템과 동일한 논리를 사용합니다.
PoS의 핵심 메커니즘: 토큰 보유량 = 투표권
PoS 시스템에서는 토큰을 더 많이 보유할수록[1][2]:
- 더 높은 확률로 블록 검증자로 선택됩니다
- 더 많은 투표권을 가집니다 (DPoS의 경우 특히 명확함)
- 더 큰 네트워크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OS, 트론, 코스모스 같은 DPoS 네트워크에서는[1][2]:
- 토큰 보유자가 보유 토큰 수에 비례하는 투표권을 가집니다
- 이 투표로 검증자(대표자)를 선출합니다
- 더 많은 토큰 = 더 강한 투표력이 명확히 적용됩니다
비트코인 PoW는 정말 다릅니다
비트코인의 PoW에서는[3][4][5]:
- 토큰 보유량과 관계없이 채굴 파워(해시율)만이 중요합니다
- 비트코인을 1억 개 가져도 블록 생성 확률이 높아지지 않습니다
- 투표 시스템 자체가 없습니다 – 합의는 오직 작업 증명으로만 이뤄집니다
- 거버넌스 결정은 코드 업데이트와 노드 채택으로만 가능합니다
DeFi 거버넌스 토큰도 동일한 논리
Lido, Uniswap 등의 거버넌스 토큰들도[6][7]:
- 토큰 보유량 = 투표권이라는 PoS와 정확히 같은 원리를 사용합니다
- 더 많은 LDO나 UNI를 보유할수록 더 강한 투표권을 가집니다
- 이는 “토큰 스테이킹을 통한 거버넌스 참여”라는 PoS의 핵심 개념을 그대로 적용한 것입니다
결론
말씀하신 대로, 대부분의 “거버넌스 참여” 시스템은 사실상 PoS의 기본 논리를 차용한 것이 맞습니다:
PoS/DPoS: 토큰 보유량 → 네트워크 검증 투표권
DeFi 거버넌스: 토큰 보유량 → 프로토콜 운영 투표권
비트코인 PoW만이 이와 완전히 다른 “연산 능력 = 합의 권한” 시스템을 사용합니다[3][8]. 토큰을 아무리 많이 가져도 채굴 장비 없이는 네트워크 합의에 전혀 참여할 수 없죠.
따라서 “코인들이 항상 말하는 거버넌스 참여 = PoS 방식”이라는 지적이 정확합니다[9][10].
출처
[1] 스테이킹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나요? – B2Broker https://b2broker.com/ko/news/what-is-staking-and-how-does-it-work/
[2] 위임 지분 증명: 기관 채택 가이드 https://www.chainup.com/ko/%EB%B8%94%EB%A1%9C%EA%B7%B8/%EC%9C%84%EC%9E%84%EB%90%9C-%EC%A7%80%EB%B6%84-%EC%A6%9D%EB%AA%85%EC%97%90-%EB%8C%80%ED%95%9C-%EC%84%A4%EB%AA%85/
[3] 작업 증명이란 무엇인가? 비트코인의 기초를 탐구하다 – Margex Blog https://margex.com/ko/blog/%EC%9E%91%EC%97%85-%EC%A6%9D%EB%AA%85%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EB%B9%84%ED%8A%B8%EC%BD%94%EC%9D%B8%EC%9D%98-%EA%B8%B0%EC%B4%88%EB%A5%BC-%ED%83%90%EA%B5%AC%ED%95%98/
4중앙통제자 없는 비트코인은 이중지불 어떻게 해결할까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89623
[5] [블록체인] 11. 비트코인 트랜잭션 – Blog. 에버듀 https://blog.everdu.com/487
[6] 스테이킹의 혁명을 이끄는 탈중앙화 프로토콜, ‘Lido DAO’를 알아볼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finup/moneysurferplus/contents/250422144806734fc
[7] 크립토 우주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토크노믹스 설계 안내서 https://xangle.io/research/detail/1755
[8] 이더리움, 투자해도 될까요? (There is no second best) https://contents.premium.naver.com/finfarmer00/finfarmer/contents/250728160231502zs
[9] 블록체인 거버넌스 정리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 Steemit https://steemit.com/governance/@nskl1004/4bmkma
[10] 암호화폐 스테이킹으로 금융상품 사업 다각화 – 딜사이트 https://dealsite.co.kr/articles/51276
[11] [PDF] STO 빌드업 – 시스템작업알림 – 키움증권 https://invest.kiwoom.com/inv/resource/202403/UploadFile_20240305133201000903.pdf
[12] 스테이킹: 기관 투자자를 위한 이점과 위험 – ChainUp https://www.chainup.com/ko/%EB%B8%94%EB%A1%9C%EA%B7%B8/%EA%B8%B0%EA%B4%80-%ED%88%AC%EC%9E%90%EC%9E%90%EB%A5%BC-%EC%9C%84%ED%95%9C-%EC%95%94%ED%98%B8%ED%99%94%ED%8F%90-%EC%8A%A4%ED%85%8C%EC%9D%B4%ED%82%B9-%ED%98%9C%ED%83%9D/
[13] [앱튼] 반기보고서(일반법인)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814002353
[14] [엑스큐어] [정정]투자설명서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805000190&rcpno=20250805000133&orgid=F&tran=Y&langTpCd=0
[15] 크립토 노드: 그 정의와 작동 원리는? – Ledger https://www.ledger.com/ko/academy/f-%EB%B8%94%EB%A1%9D%EC%B2%B4%EC%9D%B8-%EA%B8%B0%EC%B4%88/what-is-a-node-and-why-should-i-operate-one
[16] [PDF] 블록체인 방식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시스템 적용 가능성 연구 https://www.nec.go.kr/files/B0000235/201710/BBS_201710191002542001.pdf
[17]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와 솔루션 소개 – 1 – 브런치 https://brunch.co.kr/@curg/3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