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과장 광고 사례들

통신 3사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2023년 대규모 5G 과장 광고 사건이 특히 심각했습니다[1][2]. 통신 3사는 “LTE보다 20배 빠른 5G”라는 광고를 대대적으로 전개했지만, 실제로는 이론상 최대 속도일 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수치였습니다. 이로 인해 총 336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습니다[1].

  • SK텔레콤: 2.7Gbps 속도 광고로 168억원 과징금[2]
  • KT: 2.5Gbps 속도 광고로 139억원 과징금[2]
  • LG유플러스: 2.1Gbps 속도 광고로 28억원 과징금[2]

또한 결합상품 허위 광고로도 2024년에 통신 4사가 총 14억7100만원의 과징금을 받았습니다[3][4]. “총 70만원 할인”, “150만원 할인” 등 중요 혜택만 강조하고 구체적 이용조건은 숨기는 기만 광고가 82.7%를 차지했습니다[4].

포스코

포스코는 ‘친환경 브랜드’ 거짓 광고로 2025년 공정위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았습니다[5]. ‘INNOVILT’, ‘e Autopos’, ‘Greenable’을 “3대 친환경 브랜드”라고 광고했지만, 실제로는 객관적 근거가 없는 과장 표현이었습니다[5].

롯데그룹 계열사들

롯데백화점

  • 허위 세일 광고: 2008년 “최대 30% 세일”이라고 광고했지만 실제로는 많은 브랜드가 세일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할인율을 축소했습니다[6][7]
  • 2024년 ‘바샤커피’ 허위 광고 의혹으로 공정위 현장조사를 받았습니다[8]

롯데제과

자일리톨껌 허위 광고로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9]. “충치 예방에 도움”이라고 광고했지만, 실제로는:

  •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은 제품(자일리톨 100%)과 실제 판매 제품(60-80%)이 달랐습니다
  • 연간 1000억원 매출의 효자상품이었던 만큼 파장이 컸습니다[9]

롯데홈쇼핑

“이번이 마지막 판매” 등의 허위 타이틀로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10]. 하지만 대부분 주의나 경고 조치에만 그쳤고 과징금은 한 건도 없었습니다[10].

농심

김치라면 중국어 표기 논란

미국에서 판매하는 김치라면에 김치를 중국어 ‘라바이차이'(辣白菜)로 표기해 논란이 되었습니다[11][12]. 한국 정부가 김치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를 ‘신치'(辛奇)로 명시했음에도 수년간 잘못된 표기를 사용했습니다.

라면 가격담합

2012년 농심, 오뚜기, 삼양이 10년간 가격담합을 한 사실이 발각되어 총 1000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받았는데, 농심이 업계 1위로 담합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1077억6500만원의 독박을 썼습니다[13].

넥센타이어

MTD 브랜드 선호도 조사에서 6개 항목 모두 1위라고 허위 광고를 했다가 적발되었습니다[14]. 브리지스톤, 한국타이어, 금고타이어보다 높은 등급이라고 광고했지만, 해당 조사 내용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14].

미라클시드니 (메이크보그)

2025년 호주 브랜드로 위장한 허위 광고로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15]. 실제로는 한국 기업이 기획·제작한 제품임에도 호주 브랜드인 것처럼 광고했고, 이로 인해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이 모두 해당 제품을 전격 철회했습니다[15].

화려한 수식어의 패턴들

1. 절대적 표현 남용

  • “최대”, “최고”, “최강”, “완벽한”, “100%” 등의 표현을 객관적 근거 없이 사용[4][16]

2. 숫자 마술

  • “20배 빠른”, “99% 제거”, “70만원 할인” 등 인상적인 수치를 조건과 함께 명시하지 않고 사용[1][4][16]

3. 전문 용어 남용

  • “친환경”, “프리미엄”, “글로벌” 등의 용어를 구체적 근거 없이 남발[5]

4. 경쟁사 비교를 통한 우위 과장

  • 실제 성능 차이가 미미하거나 없음에도 “업계 1위”, “경쟁사 대비 우수” 등으로 표현[14][17]

이처럼 한국 대기업들의 화려한 수식어 의존 광고는 통신, 철강, 식품, 유통, 자동차, 타이어 등 거의 모든 업종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실제 제품 차별화의 한계마케팅 수사학으로 가리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출처
[1] “LTE보다 20배 빨라” 5G 광고 다 거짓말…과징금 336억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economy/it/1093088.html
[2] 이통3사 ‘과장광고’에 과징금 336억…”’20배 빠른 5G’ 불가능한 허위” https://www.news1.kr/economy/trend/5056772
[3] 결합상품 허위·과장 광고 통신사들에 과징금 14.7억원 – 연합뉴스TV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40522011200641
[4] “인터넷+TV 150만원 할인” 통신4사 과장광고에 14억7천만원 과징금 https://www.yna.co.kr/view/AKR20240522077600017
[5] 공정위, ‘친환경 브랜드’ 거짓 광고한 포스코에 시정명령 – 헬스케어N https://m.healthcaren.com/news/news_article_yong.jsp?mn_idx=550104
[6] 롯데百 허위 세일 광고 논란 – 한국섬유신문 https://www.k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1774
[7] 소비자 혼선빚은 롯데百 ‘허위마케팅’ 논란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110831092058A
[8] 공정위, 롯데백화점 현장조사…’바샤커피’ 허위광고 의혹 때문? https://news.nate.com/view/20240923n33935
[9] 자일리톨껌 허위광고 적발…롯데제과 ‘화들짝’ –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79509325954237
[10] “이번이 마지막 판매”…소비자 기만 홈쇼핑 1·2위는 롯데·CJ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31007041400017
[11] 김치라면에 김치 대신 중국어 ‘라바이차이’?…농심 라면포장지 ‘논란’ https://www.mk.co.kr/news/business/10930871
[12] 김치를 김치라 안 하는 ‘농심’…논란 일자 삭제키로 – SBS Biz https://biz.sbs.co.kr/article/20000154645
[13] 농심/논란 및 사건 사고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86%8D%EC%8B%AC/%EB%85%BC%EB%9E%80%20%EB%B0%8F%20%EC%82%AC%EA%B1%B4%20%EC%82%AC%EA%B3%A0
[14] 공정위, 넥센타이어 과장광고 ‘조심해!’ – 프라임경제 https://m.newsprime.co.kr/section_view.html?no=187109
[15] 롯데·신세계·갤러리아 백화점, 미라클시드니 화장품 입점 전격 철회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5080811002834886
[16] 삼성전자도 못 비켜 간 광고 과징금…法 “기만 광고 대가로 4억7200 …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104016085b
[17] ‘최저가 재도전’ 이마트, 쿠팡 저격 까닭은 – 톱데일리 https://www.topdaily.kr/articles/91621
[18] 포스코, 대우조선해양 인수 “글쎄…” – SBS 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747402
[19] SKT 사장 “5G, LTE의 20배는 이론상 속도, 과장광고라니 유감” https://www.khan.co.kr/article/202303281438001
[20] 포스코, ‘대어’ 대우인터 낚았다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420874.html
[21] [단독]포스코, 왜 대우조선 인수 의지 접었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5/16/2010051600735.html
[22] “짝퉁·허위광고 철퇴”…팔 걷어붙인 롯데 – 네이트 뉴스 https://news.nate.com/view/20250220n31715
[23] 포스코, 태양광과 풍력 TFT 에너지조선마케팅실로 모인다 http://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87831
[24] 경영진 비리에 허위 광고 ‘논란’ 롯데홈쇼핑 3년 재승인 기사회생 – 더팩트 https://m.tf.co.kr/amp/economy/1721999.htm
[25] 인증·적용 성공! 포스코 BCA강을 만든 다섯 남자 이야기 https://newsroom.posco.com/kr/%ED%8F%AC%EC%8A%A4%EC%BD%94-%EB%A7%88%EC%BC%80%ED%8C%85%EC%9D%84-%EB%A7%8C%EB%82%98%EB%8B%A4-%EC%84%B8%EA%B3%84-%EC%B5%9C%EC%B4%88-%EA%B0%9C%EB%B0%9C%C2%B7%EC%9D%B8%EC%A6%9D%C2%B7%EC%A0%81%EC%9A%A9/
[26] 대우조선마저 간판 내렸다···’대우’ 브랜드 명맥은?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305241616001
[27] 일상이 된 매일매일 오네(O-NE)가 고객과 만나는 방법 LATEST | NOW https://www.cjlogistics.com/ko/newsroom/latest/LT_00000395
[28] 금호타이어 정일택號, 한국타이어 출신 줄영입···왜? – 뉴스웨이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2052620282163040
[29] 무한한 혁신으로 물류의 미래를 개척하다 CJ대한통운, 브랜드 철학 … https://www.cjlogistics.com/ko/newsroom/latest/LT_00000187
[30] [이마트의 리얼한 마케팅 이야기] 역설의 광고 – 신세계그룹 뉴스룸 https://www.shinsegaegroupnewsroom.com/23758/
[31] CJ대한통운 회사 분위기 – 블라인드 – Blind https://www.teamblind.com/kr/browse/CJ%EB%8C%80%ED%95%9C%ED%86%B5%EC%9A%B4-%ED%9A%8C%EC%82%AC-%EB%B6%84%EC%9C%84%EA%B8%B0-7280
[32] 농심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86%8D%EC%8B%AC
[33] ‘마케팅 귀재’된 금호타이어?…차별화 콘텐츠로 국내외 시장 공략 본격화 https://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384
[34] 신세계 이마트의 마케팅 사례 분석 – 레포트월드 https://www.reportworld.co.kr/other/o7214361
[35] CJ대한통운 기업정보 – 2025년 연봉, 사업, 채용, 지원자 스펙 분석 https://jasoseol.com/companies/98
[36] ‘라면 2천원’ 논란…농심·오뚜기 라면값 줄줄이 올렸다 – 지디넷코리아 https://zdnet.co.kr/view/?no=20250610101113
[37] 금호타이어 채용 2025년 기업정보 – 평균연봉 8400만원 – 캐치 https://www.catch.co.kr/Comp/CompSummary/213790
[38] 무한 경쟁시대, 이마트의 그로스해킹 전략 – 브런치 https://brunch.co.kr/@dmone/54
[39] 계열사 ‘회전문 재편입’ 논란…신동원 농심 회장 ‘세우 인수’ 배경 뒷말 https://www.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97005
[40] 금호타이어, 캐릭터 마케팅에 주력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paper.aspx?no=318678
[41] 이마트24의 출구 전략은 무엇일까요? – 오픈애즈 https://www.openads.co.kr/content/contentDetail?contsId=9360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