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Corp 마무리


0. Executive Summary (요약)

  • 미션(Mission): AI와 XR을 연결해, 누구나 실시간 가상 콘텐츠를 ‘만들고 방송’할 수 있게 한다. (Make real‑time virtual production accessible to everyone.)
  • 비전(Vision, 2030): “XR 방송의 워드프레스” — 전 세계 10만 크리에이터가 EX‑EZ로 제작·라이브 송출하고, 산업·교육·커머스 현장에 EXLINK가 기본 인프라가 된다.
  • 핵심가치(Core Values): 사용자 집착 · 실시간 품질과 안정성 · 개방과 상호운용 · 투명성과 윤리 · 학습과 장인정신 · 속도와 단순화 · 데이터로 말하기 · 팀으로 이긴다.
  • 운영원칙(Operating Principles): 제품 우선(PLG), 안전·보안 내재화, 고객 가치 기준의 우선순위, 파트너십은 상호 이익·장기, 문서화·측정·정기 리뷰.
  • 지표 체계(KPIs/OKRs): 접근성(활성 크리에이터, 설치→활성 전환), 품질(프레임 드랍·크래시율), 성과(NPS·유료 전환·체류), 생태계(플러그인 수·커뮤니티 기여), 윤리·컴플라이언스(라이선스·데이터 거버넌스 준수).

1. 회사 정체성 (Identity)

  • 우리가 푸는 문제: XR/VP 제작은 고가·전문가 중심 → EX‑EZ로 개인·중소팀도 고퀄 실시간 합성·방송 가능.
  • 우리의 차별성:
    1. 실시간성안정성을 제품 설계의 최우선으로,
    2. 개방형·상호운용(Interop)·표준 준수,
    3. 교육·온보딩까지 포함한 End‑to‑End 경험.
  • 브랜드 약속(Brand Promise): “쉽게 시작, 전문급 결과(Simple start, Pro results).”

2. 미션 (Mission)

AI와 XR을 연결해, 누구나 실시간 가상 콘텐츠를 ‘만들고 방송’할 수 있게 한다.

  • 의미: 기술 장벽(비용·장비·지식)을 낮춰, 개인·교육기관·기업 누구나 실시간 가상 제작을 일상화.
  • 행동 기준(Behavioral Anchors):
    • 모든 의사결정에 사용자 접근성·학습 곡선을 고려한다.
    • 복잡한 기능보다 핵심 과업의 성공률을 높인다.
    • 지금 이 변경이 초심자의 첫 라이브에 어떤 영향을 주나?”를 항상 묻는다.
  • 측정(Examples): 1주 내 첫 라이브 달성률, 온보딩 튜토리얼 완주율, 첫 구매까지의 클릭 수/시간.

3. 비전 (Vision, 2027~2030)

  • 2030 북극성(북극성 지표/NSM): 월간 활성 제작자(MAP) 100,000명, 월간 실시간 방송 250,000건, 플러그인 에코시스템 2,000개.
  • 위상: “XR 방송의 워드프레스” — 누구나 빠르게 세팅, 확장 모듈로 전문급 품질 달성.
  • 사업 포트폴리오:
    • EX‑EZ (SW/플랫폼, Steam·클라우드·API)
    • EXLINK (장비·통합 운영, 스튜디오/현장 적용)
    • EX Studio (레퍼런스 스테이지·교육·쇼케이스)
  • 사회적 가치: 기술 접근성 확대, 공정한 창작 환경, 교육·지역 문화 활성화.

4. 핵심가치 (Core Values) — 정의 · 행동 · 측정 · 안티패턴

4.1 사용자 집착 (User Obsession)

  • 정의: 기능이 아니라 과업 성공을 설계한다.
  • 행동: 주간 사용자 인터뷰·리플레이, 릴리즈 전 ‘첫 라이브’ 리허설.
  • 측정: 과업 성공률, NPS, CS 응답 24h 내 해결률.
  • 안티패턴: 내부 편의/정치로 우선순위 왜곡, “고급 사용자만 이해” 설계.

4.2 실시간 품질과 안정성 (RT Quality & Reliability)

  • 정의: 라이브 현장에서 떨어지지 않는 제품.
  • 행동: 성능 예산(성능 버짓) 수립, 카메라·렌더·네트워크 병목 관리, 롤백 플랜 상시 준비.
  • 측정: 프레임 드랍률, 크래시/세션 1,000건당, MTTR.
  • 안티패턴: ‘데모는 좋았는데’ 실전 불가, 무계획 핫픽스.

4.3 개방과 상호운용 (Open & Interoperable)

  • 정의: 표준 기반, 플러그인·API·파일 호환성 최우선.
  • 행동: 포맷 명세 공개, SDK·샘플 제공, 커뮤니티 PR 환영.
  • 측정: 외부 통합 건수, 플러그인/SDK 다운로드, 커뮤니티 기여.
  • 안티패턴: 폐쇄 포맷 락인, 불투명 라이선스.

4.4 투명성과 윤리 (Transparency & Ethics)

  • 정의: 과정·의사결정·데이터 사용을 투명하게.
  • 행동: 릴리즈 노트·성능 수치·제한사항 공개, 저작권·개인정보 우선.
  • 측정: 라이선스·GDPR/국내법 위반 0건, 공개 리포트 주기.
  • 안티패턴: 성능 과장, 출처 불명 데이터 사용.

4.5 학습과 장인정신 (Learning & Craft)

  • 정의: 빠른 학습과 디테일의 결합.
  • 행동: 포스트모템·테크 리드 리뷰, Best Practice 라이브러리화.
  • 측정: 회고 실행률, 리팩터 품질, 기술 부채 감축.
  • 안티패턴: ‘빨리빨리’만, 문서 없는 암묵지.

4.6 속도와 단순화 (Speed & Simplify)

  • 정의: 빠르되 단순하게.
  • 행동: 불필요 옵션 제거, 기본값의 현명함, 10분 내 라이브.
  • 측정: 기능 도입→사용까지 시간, UI 클릭 수, 빌드/배포 리드타임.
  • 안티패턴: 기능 과잉, 복잡한 마법사 강요.

4.7 데이터로 말하기 (Data‑Informed)

  • 정의: 직관을 데이터로 검증.
  • 행동: 인스트루먼트·로그 표준화, A/B, 가설‑실험‑학습 사이클.
  • 측정: 실험 주기·완료율, 대시보드 커버리지.
  • 안티패턴: HiPPO 의사결정, 측정 없는 릴리즈.

4.8 팀으로 이긴다 (Win as One)

  • 정의: 기능 조직이 아니라 문제 해결 조직.
  • 행동: PM‑Eng‑Design‑Biz 원테이블, 책임·소유권 명확화.
  • 측정: 교차팀 OKR 달성, 지식 공유 세션, 버스팩터 개선.
  • 안티패턴: 사일로, 영웅주의, 비난 문화.

5. 운영 원칙 (Operating Principles)

  1. PLG: 제품이 성장을 이끈다 — 체험→활성→유료 전환 퍼널 최적화.
  2. Security & Safety by Design: 개인정보·저작권·방송안전 내재화.
  3. Prioritize by Customer Value: RICE + 가치 정렬로 스코핑.
  4. Docs & Reviews: 설계→PRD→테크리뷰→테스트→릴리즈노트 체계.
  5. Long‑term Partnerships: 상호 이익·표준 공동 발전.

6.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Decision Frameworks)

  • 6Q 가치 체크: 누구의 문제? 얼마나 자주? 대체 수단? 10분 내 가치? 유지비? 윤리·법적 리스크?
  • 우선순위(RICE × Value Fit): Impact·Reach·Confidence·Effort × Core Values 적합도 가중치.
  • 릴리즈 게이트: 성능 버짓 통과, 롤백·모니터링 준비, 문서·튜토리얼 동시 공개.

7. 지표 체계 (KPIs/OKRs) — 예시

  • 접근성/활성: 신규 설치→7일 활성 전환률 ≥ 35%, 1주 내 ‘첫 라이브’ ≥ 50%.
  • 품질/안정성: 세션 1,000건당 크래시 ≤ 0.5, 프레임 드랍 ≤ 1%.
  • 고객 성과: NPS ≥ 45, 유료 전환 ≥ 4–6%, 90일 유지 ≥ 35%.
  • 생태계: 월 신규 플러그인 ≥ 20, 커뮤니티 PR·튜토리얼 증가율.
  • 윤리·규정: 라이선스 위반 0, 데이터 거버넌스 감사 통과 100%.

8. 윤리·컴플라이언스 (Ethics & Compliance)

  • 저작권/라이선스: 소스·에셋 출처 표기, 상용 이용 권리 검증, OSS 라이선스 의무 준수.
  • 개인정보/AI 사용: 최소 수집, 온디바이스/익명화 우선, 모델·데이터 출처 투명 공시.
  • 방송 안전: 연습 모드·비상 차단, 콘텐츠 가이드라인.
  • 공정: 알고리즘 편향 점검, 접근성(색각·청각·장애 포함) 기준 반영.

9. 조직·문화 (People & Culture)

  • 채용: 가치 적합 인터뷰(행동 기반 질문), 과제는 실제 업무 축소판.
  • 온보딩: 30·60·90일 체크리스트, 멘토 배정, 첫 라이브 목표.
  • 성장: 주간 테크톡·리뷰, 교육비/시간 보장, ‘공개 회고’ 문화.
  • 보상: 팀 OKR 연동, 고객 임팩트 반영.
  • 안티문화: 비난·사일로·데이터 무시·야근 미덕화는 금지.

10. 커뮤니케이션 & 브랜딩

  • 보이스 & 톤: 명확·간결·정직. 성능·제한·로드맵을 사실 기반으로.
  • 슬로건(초안): “Simple start, Pro results.” / “Make live virtual, for everyone.”
  • 문서 표준: 릴리즈노트·튜토리얼·FAQ 동시 배포, 스크린샷·숫자·재현 절차 포함.

11. 템플릿 (바로 쓰는 양식)

11.1 분기 OKR 템플릿

  • Objective: (고객 가치 중심으로 1문장)
  • KR1: 활성 전환률 X% → Y%
  • KR2: 프레임 드랍율 A% → B%
  • KR3: 유료 전환 C% → D%

11.2 릴리즈 체크리스트

  • 성능 버짓 통과 / 회귀 테스트 / 롤백 플랜 / 모니터링 대시보드 / 릴리즈노트·튜토리얼.

11.3 가치 면접 질문(예시)

  • “최근 사용자를 위해 스펙을 줄이거나 바꾼 사례는?”
  • “데이터로 가설을 검증한 실패/학습 사례는?”

11.4 파트너십 평가표(요약)

  • 표준·상호운용 점수 / 윤리·라이선스 / 장기성 / 공동 로드맵 / 고객 가치 기여.

12. 실행 로드맵 (90‑180‑365일)

  • 90일: 가치 인터뷰 도입, 릴리즈 게이트 운영, 온보딩 튜토리얼 개편.
  • 180일: 플러그인 SDK v1 공개, 커뮤니티 1,000명, 품질 지표 30% 개선.
  • 365일: MAP 50k, 교육 파트너 50곳, 윤리·데이터 감사 체계 정례화.

13. FAQ (발췌)

  • Q. 속도 vs 품질? → 실시간 품질·안정성을 훼손하는 속도는 불가. 범위를 줄여 속도를 얻는다.
  • Q. 개방의 경계? → 보안·라이선스·사용자 안전을 해치지 않는 한도에서 최대 개방.

14. 버전 관리

  • v1.0 (2025‑09‑29) 최초 배포. 분기별 리뷰/개정 예정.

부록 A. 용어

  • XR/VP: 확장현실/버추얼 프로덕션.
  • PLG: Product‑Led Growth.
  • NSM: North Star Metric(북극성 지표).

부록 B. 원페이지 요약(포스터)

  • 미션/비전/가치 한 장 요약 포스터 초안 포함 (내부 위키·스튜디오 게시용).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