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분포 발전사 약 190년의 여정

첨부하신 문서와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규분포가 만들어지는데 180년이 걸렸다”는 주장을 검증한 결과, 실제로는 약 187~190년이 소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york+3

시작과 완성

1733년 11월 12일: 드무아브르가 친구들에게 비공개로 7페이지 분량의 논문 “Approximatio ad Summam Terminorum Binomii”를 발표하며 정규곡선 공식을 최초로 제시했습니다. 이것이 정규분포의 출발점입니다.york

1920년대: 린데베리(1922)가 류야푸노프보다 더 약한 조건에서 중심극한정리를 증명하면서 현대적 의미의 정규분포 이론이 완성되었습니다. 이로써 다양한 분포와 의존구조에서도 정규분포가 나타나는 조건이 정교화되었습니다.math.hkust+3

총 소요 기간: 1733년부터 1920년대까지 약 187~190년이 걸렸습니다.

주요 발전 단계


초기 발견기 (1733~1738)

드무아브르(Abraham de Moivre, 1667–1754)는 이항분포의 중심부를 정규곡선으로 근사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는 도박 문제(확률 이론의 실제 응용)에서 출발한 것으로, 1733년 작성한 미공개 논문 *“Approximatio ad Summam Terminorum Binomii a+bⁿ in Seriem expansi”*를 통해 처음 제시되었습니다.
그는 1738년 『The Doctrine of Chances』 제2판에 이 결과를 수록하면서, 다항식의 근사합으로부터 확률의 연속 분포가 근사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보였습니다.

드무아브르는 무한히 많은 시행에서 이항분포가 종 모양의 곡선으로 수렴함을 수식으로 표현했고, 다음과 같이 정규분포의 형태를 처음 근사했습니다.

texy = y_0 \, e^{-\frac{x^2}{2\sigma^2}}, \quad
\text{where} \quad
y_0 = \frac{1}{\sigma \sqrt{2\pi}}

이는 확률밀도함수 형태로 다음과 같이 일반화되었습니다.

texf(x) = \frac{1}{\sigma \sqrt{2\pi}} \, e^{-\frac{(x - \mu)^2}{2\sigma^2}}

그는 이 공식을 통해 “특정 오차의 크기가 발생할 확률”을 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후 이는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의 출발점이자 ‘데무아브르–라플라스 정리(De Moivre–Laplace theorem)’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1. https://en.wikipedia.org/wiki/Abraham_de_Moivre
  2.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doctrine-of-chances/15CB7A25354C60A1C697AFC655705E62
  3. https://en.wikipedia.org/wiki/The_Doctrine_of_Chances
  4. https://www.cambridge.org/sh/universitypress/subjects/mathematics/historical-mathematical-texts/doctrine-chances-or-method-calculating-probability-events-play?format=PB&isbn=9781108061803
  5.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Abraham-de-Moivre
  6. https://www.ime.usp.br/~walterfm/cursos/mac5796/DoctrineOfChances.pdf
  7. https://www.york.ac.uk/depts/maths/histstat/demoivre.htm
  8. https://www.york.ac.uk/depts/maths/histstat/demoivre.pdf
  9. https://books.google.com/books/about/The_doctrine_of_Chances.html?id=PII_AAAAcAAJ
  10. https://www.routledge.com/The-Doctrine-of-Chances-A-Method-of-Calculating-the-Probabilities-of-Events-in-Play/Moivre/p/book/9781138967892
  11. https://www.york.ac.uk/depts/maths/histstat/demoivre.pdf

오차 이론으로의 발전 (1805~1809)

1805년: 르장드르가 최소자승법을 발표하며 오차를 최소화하는 수학적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혜성 궤도 계산에 적용되었습니다.york+3

1808년: 미국의 수학자 **애드레인(Robert Adrain)**이 측량 문제에서 영감을 받아 정규 오차법칙을 독립적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가우스보다 1년 빠른 것이었으나 역사적으로 덜 알려져 있습니다.probabilityandfinance+3

1809년: 가우스가 『Theoria Motus Corporum Coelestium』에서 천문관측 오차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최소자승법을 확률적으로 정당화했습니다. 가우스는 최대우도추정의 개념을 사용하여 정규분포를 유도했으며, 이로 인해 정규분포는 “가우스 분포”라고도 불립니다.wikipedia+6

이론적 기반 확립 (1810)

1810년: 라플라스가 중심극한정리의 초기 형태를 증명하여 “왜 정규분포가 이렇게 자주 나타나는가?”에 대한 핵심 답을 제시했습니다. 라플라스는 표본평균이 정규분포로 수렴한다는 것을 보였으며, 이는 독립적이고 동일한 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들의 합이 정규분포로 수렴한다는 내용입니다.britannica+4

사회과학·생물학으로 확산 (1829~1890년대)

1829~1835년: 벨기에의 천문학자·통계학자 **케틀레(Quetelet)**가 “평균인(l’homme moyen)” 개념을 도입하여 사회통계와 인체 측정에 정규분포를 적용했습니다. 그의 저서 『Sur l’homme et le développement de ses facultés』(1835)는 19세기 가장 위대한 책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케틀레는 신장, 체중, 범죄율, 자살률 등 다양한 사회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실증했습니다.theatlantic+5

1860년: 맥스웰이 기체분자의 속도분포를 유도하면서 속도 성분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이는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기초가 되었으며, 물리학에서 정규분포가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wikipedia+5

1880~1890년대: **갈턴(Francis Galton)**이 유전학 연구에서 회귀와 분산 개념을 발전시키고 정규분포를 생물·사회 과학에 확산시켰습니다. 갈턴은 “regression to the mean(평균으로의 회귀)” 개념을 발견했으며, 정규분포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도록 기여했습니다.actuaries+6​youtube​

현대적 완성 (1901~1920년대)

1901년: 러시아 수학자 **류야푸노프(Lyapunov)**가 중심극한정리를 엄밀하게 증명했습니다. 류야푸노프 조건 하에서 중심극한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보였으며, 이는 드무아브르와 라플라스의 연구 이후 약 90년 만의 엄밀한 증명이었습니다.wikipedia+4

1920년: 폴란드 수학자 **폴리야(Pólya)**가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습니다. 그는 이 정리가 확률론에서 “중심적 역할(central role)”을 한다는 의미에서 이 명칭을 붙였습니다.djalil.chafai+3

1922년: 핀란드 수학자 **린데베리(Lindeberg)**가 류야푸노프보다 더 약한 조건(린데베리 조건)에서 중심극한정리를 증명했습니다. 이후 1935년 펠러(Feller)가 필요조건까지 밝혀내면서 린데베리-펠러 정리가 완성되었습니다.faculty.washington+5

검증 결과

“정규분포 만드는데 180년 걸렸다”는 주장은 거의 정확합니다. 실제로는 1733년(드무아브르의 최초 발견)부터 1920년대(린데베리의 일반화 완성)까지 약 187~190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정규분포는:

  • 발견 (드무아브르, 1733~1738)
  • 오차 이론으로 정립 (르장드르·애드레인·가우스, 1805~1809)
  • 이론적 기반 마련 (라플라스, 1810)
  • 응용 분야 확대 (케틀레·맥스웰·갈턴, 1829~1890년대)
  • 엄밀한 수학적 완성 (류야푸노프·린데베리, 1901~1922)

의 단계를 거쳐 현대 통계학의 가장 핵심적인 분포로 자리잡았습니다.dornsife.usc+2

  1. https://www.york.ac.uk/depts/maths/histstat/demoivre.pdf
  2. https://jjycjnmath.tistory.com/383
  3. https://www.york.ac.uk/depts/maths/histstat/legendre.pdf
  4. https://en.wikipedia.org/wiki/Least_squares
  5. https://www.math.hkust.edu.hk/~makchen/MATH5411/Chap2Sec2.pdf
  6. https://djalil.chafai.net/blog/2024/09/05/back-to-basics-lindeberg-principle/
  7. https://en.wikipedia.org/wiki/Central_limit_theorem
  8. https://faculty.washington.edu/fscholz/DATAFILES394_2019/CLT.pdf
  9. https://encyclopediaofmath.org/wiki/Legendre,_Adrien-Marie
  10. https://www.historyofinformation.com/detail.php?id=2322
  11. https://probabilityandfinance.com/pulskamp/Adrain/Adrain.html
  12. https://www.probabilityandfinance.com/pulskamp/Adrain/1808-Analyst.pdf
  13. https://mathshistory.st-andrews.ac.uk/Biographies/Adrain/
  14.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history/normal-distribution
  15. https://www.historyofinformation.com/detail.php?entryid=2707
  16. https://www.actuaries.asn.au/research-analysis/gauss-least-squares-and-the-missing-planet
  17. https://www.iue.tuwien.ac.at/phd/minixhofer/node48.html
  18. https://analyticalsciencejournals.onlinelibrary.wiley.com/doi/pdf/10.1002/cem.2655
  19. https://www.biostat.hku.hk/glossary/gaussian-distribution
  20. https://notarocketscientist.xyz/posts/2023-01-27-how-gauss-derived-the-normal-distribution/
  21. https://www.britannica.com/science/central-limit-theorem
  22. https://freakonometrics.hypotheses.org/48061
  23. https://fam.tuwien.ac.at/~sgerhold/pub_files/sem19/s_plenar.pdf
  24. https://vru.vibrationresearch.com/lesson/central-limit-theorem/
  25. https://mathspace.co/textbooks/syllabuses/Syllabus-949/topics/Topic-18874/subtopics/Subtopic-255131/
  26. https://www.theatlantic.com/business/archive/2016/02/the-invention-of-the-normal-person/463365/
  27. https://historyofinformation.com/detail.php?entryid=2154
  28. https://mnstats.morris.umn.edu/introstat/history/w98/Quetelet.html
  29. https://mathshistory.st-andrews.ac.uk/Biographies/Quetelet/
  30. https://pubmed.ncbi.nlm.nih.gov/17890752/
  31. https://www.shellsandpebbles.com/2023/10/23/adophe-quetelet-a-statistical-method-for-all/
  32. https://en.wikipedia.org/wiki/Maxwell%E2%80%93Boltzmann_distribution
  33. https://chem.libretexts.org/Bookshelves/Physical_and_Theoretical_Chemistry_Textbook_Maps/Physical_Chemistry_(LibreTexts)/27:_The_Kinetic_Theory_of_Gases/27.03:_The_Distribution_of_Molecular_Speeds_is_Given_by_the_Maxwell-Boltzmann_Distribution
  34. https://homepages.abdn.ac.uk/j.s.reid/pages/Maxwell/Legacy/MaxDistrb.html
  35. https://clerkmaxwellfoundation.org/Maxwell-Boltzmann.pdf
  36. https://d-arora.github.io/Doing-Physics-With-Matlab/mpDocs/tp_LE_Maxwell.html
  37. https://math.umd.edu/~lvrmr/History/Foundations.html
  38. https://rafalab.dfci.harvard.edu/dsbook-part-2/linear-models/regression.html
  39. https://en.wikipedia.org/wiki/Regression_toward_the_mean
  40. https://sites.ualberta.ca/~dwiens/stat575/misc%20resources/regression%20to%20the%20mean.pdf
  41. https://www.youtube.com/watch?v=lOWjRaCKbQg
  42. http://www.econ.uiuc.edu/~roger/research/galton/Galton.pdf
  43. https://en.wikipedia.org/wiki/Galton_board
  44. https://encyclopediaofmath.org/wiki/Lyapunov_theorem
  45. https://scholarworks.umt.edu/cgi/viewcontent.cgi?article=1388&context=tme
  46. https://www.stat.ubc.ca/~saif.syed/papers/PMATH_800_paper.pdf
  47. https://corporatefinanceinstitute.com/resources/data-science/central-limit-theorem/
  48. https://en.wikipedia.org/wiki/Lindeberg’s_condition
  49. https://dornsife.usc.edu/larry-goldstein/wp-content/uploads/sites/221/2023/06/lin-1.pdf
  50. https://escholarship.org/uc/item/6v70b01p
  51. https://priceonomics.com/the-discovery-of-statistical-regression/
  52. https://projecteuclid.org/journals/statistical-science/volume-38/issue-3/Note-on-Legendres-Method-of-Least-Squares/10.1214/23-STS887.full
  53. https://www.geneseo.edu/~johannes/DutkaAdrain.pdf
  54. https://www.americanscientist.org/article/science-on-the-farther-shore
  55. http://www.spcpress.com/pdf/DJW411.pdf
  56. https://en.wikipedia.org/wiki/Adolphe_Quetelet
  57. https://www.ccsenet.org/journal/index.php/ijsp/article/view/0/45187
  58. https://xaktly.com/MaxwellBoltzmann.html
  59. https://philsci-archive.pitt.edu/12795/1/Maxwell_and_the_normal_distribution_a_colored_story.pdf
  60. https://blog.naver.com/silvershiri/220658383791
  61.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A%B7%9C_%EB%B6%84%ED%8F%AC
  62. https://blog.naver.com/julcho/40206339251
  63. https://pdfs.semanticscholar.org/de3c/53d4b55979d81ecb71f0b7e5c485b6104c90.pdf
  64. https://namu.wiki/w/%EA%B8%B0%EC%88%A0%ED%86%B5%EA%B3%84%ED%95%99?uuid=0112e67f-1a6b-4483-88d2-eb77b285e16f
  65. https://www.youtube.com/watch?v=BXof869EC68
  66. https://ekja.org/upload/pdf/kjae-26-22.pdf
  67.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statistics
  68. https://www.kias.re.kr/files/B0000037/202307/6fcebd7ce8b04a3b88d23ce34b84f230.pdf
  69. https://paulnesselroade.com/textbook-excerpts/abraham-de-moivre-and-the-history-of-the-normal-curve/
  70. https://en.wikipedia.org/wiki/Normal_distribution
  71. https://www.eecs.harvard.edu/~michaelm/NEWWORK/postscripts/history-revised.pdf
  72. https://www.jstor.org/stable/27642916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