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박스와 롯데시네마 합병

메가박스와 롯데시네마(롯데컬처웍스)가 합병을 공식적으로 추진합니다. 2025년 5월 8일, 중앙그룹과 롯데그룹은 각각의 영화 관련 계열사인 메가박스중앙과 롯데컬처웍스의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1][2][3][4][5][6].

합병의 주요 내용

  • 합병 주체: 메가박스중앙(메가박스,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 플레이타임중앙 등)과 롯데컬처웍스(롯데시네마, 롯데엔터테인먼트, 샤롯데씨어터 등)
  • 지분 구조: 롯데컬처웍스는 롯데쇼핑이 86.37% 지분을, 메가박스중앙은 중앙그룹의 콘텐트리중앙이 95.98% 지분을 보유
  • 합작법인 설립: 양사가 공동 경영하는 합작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합병안과 구조는 추후 논의될 예정
  • 진행 절차: 신규 투자 유치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를 신속히 진행할 계획

합병 추진 배경과 의미

  • 영화산업의 위기 대응: 코로나19 이후 관객 감소, 제작 위축,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성장 등으로 극장 산업이 침체에 빠지자,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하게 됐습니다[3][6].
  • 시장 재편: 합병이 완료되면 전국 스크린 수 기준으로 CGV(1,346개)를 넘어서는 1,682개(롯데시네마 915개 + 메가박스 767개) 스크린을 보유하게 되어, 국내 멀티플렉스 시장이 CGV와 롯데-메가박스 연합의 양강 구도로 재편될 전망입니다[3][5].
  • 운영 효율화 및 수익성 개선: 중복 투자와 비용을 절감하고, 특별관 확대 등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며, 콘텐츠 투자도 확대할 방침입니다[4][6].

향후 전망

  • 공정위 심사 등 절차: 이번 합병은 아직 MOU 체결 단계로, 후속 투자 유치와 공정위의 기업결합 심사 등 추가 절차가 남아 있습니다[4].
  • 영화산업 구조조정 신호탄: 이번 합병은 국내 영화관 업계의 구조조정과 경쟁 구도 변화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6].

요약하면, 메가박스와 롯데시네마의 합병은 공식적으로 추진 중이며, 국내 영화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시장 재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공정거래위원회 심사 등 후속 절차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출처
[1] [1보]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양해각서 체결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8135500005
[2]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추진… 영화산업 재편 시작 –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channel/2025/05/08/64ZFLYNGR5C2LN7A3DUYPYP6SI/
[3] 영화 시장 ‘지각변동’…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한다 [종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080300g
[4]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MOU 체결…합작사 설립 예정 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5/08/2025050880171.html
[5]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한다‥CGV 대항마 되나 https://imnews.imbc.com/news/2025/econo/article/6714053_36737.html
[6]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 합친다…영화관 업계 구조조정 신호탄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96428.html
[7] [단독]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논의..韓영화산업 재편 예상 https://isplus.com/article/view/isp202505080096
[8] [단독] 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 MOU 체결..韓영화산업 재편 [종합] https://isplus.com/article/view/isp202505080196
[9] “이대론 다 죽어”… 영화관 2위 롯데·3위 메가박스 손잡았다 https://www.mk.co.kr/economy/view/2025/325706
[10]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양해각서 체결…영화산업 빅딜 가시화 –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entertainment/movie/2025/05/08/O6AY2D64HLMKJR52WL6GWLYOFI/
[11]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한다…“본업 경쟁력 강화” –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508/131565504/1
[12]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멀티플렉스 지각 변동 https://www.mediapen.com/news/view/1013700
[13]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 합병 추진···영화산업 ‘지각변동’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556616
[14]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결정…영화관 지각변동 https://www.topdaily.kr/articles/103096
[15]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극장 시장 판도 뒤집나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0652
[16]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준비…CGV와 양자대결 구도되나 https://biz.sbs.co.kr/article/20000233273
[17]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 체결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4904
[18] 롯데시네마-메가박스 인수합병 추진…韓 영화 산업계에 변화의 바람 불까 https://www.thepublic.kr/news/articleView.html?idxno=261787
[19]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양해각서 체결 https://www.ytn.co.kr/_ln/0106_202505081535311351
[20] ‘공룡’끼리 맞잡긴 했는데…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 시너지 이룰까 https://news.nate.com/view/20250508n32301

메가박스와 롯데시네마가 합병을 추진하는 주요 배경 중 하나는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의 확산 때문입니다. OTT 서비스의 성장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오프라인 영화관 사업이 크게 침체되면서, 두 회사 모두 경쟁력 약화와 수익성 악화라는 어려움을 겪게 됐습니다[1][3].

이런 환경 변화에 대응해 양사는 합병을 통해 손익 개선, 재무 건전성 확보, 중복 투자 제거, 특별관 등 차별화된 경험 제공 등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즉, 넷플릭스를 비롯한 OTT의 영향이 두 회사의 합병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1][3][4].

출처
[1]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영화관 CGV-합병법인 2자 구도 재편 https://www.munhwa.com/article/11504155
[2] 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 시너지 극대화 목표 – BNT뉴스 https://www.bntnews.co.kr/article/view/bnt202505080105
[3]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영화관 CGV-합병법인 2자 구도 재편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key=20250508.99099001691
[4] 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쳐진다 – IT조선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40147
[5]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추진…국내 영화산업 재편 신호탄 –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50508000392
[6]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추진…영화산업 재편되나 – 한국아이닷컴 https://www.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252834
[7] OTT와 영화관 산업의 공존, 과연 가능할까? – 퍼플마블 https://9078kusoos.tistory.com/entry/OTT%EC%99%80-%EC%98%81%ED%99%94%EA%B4%80-%EC%82%B0%EC%97%85%EC%9D%98-%EA%B3%B5%EC%A1%B4-%EA%B3%BC%EC%97%B0-%EA%B0%80%EB%8A%A5%ED%95%A0%EA%B9%8C
[8]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친다…’영화관’ 살아날까 [투자360] – 헤럴드경제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83005
[9] 코로나가 바꾼 영화 산업 지형도…넷플릭스 VS ‘OTT’ 경쟁 본격화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01212/104409885/1
[10] [단독]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논의..韓영화산업 재편 예상 https://isplus.com/article/view/isp202505080096
[11] OTT 플랫폼과 영화 산업의 변화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41863
[12]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침체된 영화 시장 지각변동 일으킬까 (종합) https://v.daum.net/v/20250508164321840
[13] [Opinion] 영화관이 넷플릭스의 경쟁상대가 아닌 이유 [문화 공간]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46834
[14]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한국 영화산업 재편 가능성↑” http://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1255
[15] 넷플릭스 같은 OTT 서비스가 영화관에 미치는 영향은? – 아하 https://www.a-ha.io/questions/4ec1c7adb84b93f48159977f222ee607
[16] 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 오늘 양해각서 체결 – 루리웹 https://m.ruliweb.com/family/211/board/300015/read/2381023
[17] 일본의 영화관과 넷플릭스를 위시한 OTT 간의 경쟁과 공존 |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11977
[18] 롯데시네마·메가박스, 경쟁력 제고 위해 합병 양해각서 체결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920
[19] 넷플릭스, 영화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오픈서베이 블로그 https://blog.opensurvey.co.kr/article/movie-2019-2/
[20] CGV의 상대는 넷플릭스가 아니라 야놀자다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dnswls2000/101

영화관과 OTT 서비스의 주요 차이점

1. 관람 환경과 몰입감

  • 영화관은 대형 스크린과 서라운드 사운드 환경을 제공해 압도적인 몰입감과 감정 이입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여러 사람이 함께 감상하며 공동체적 경험도 가능합니다[4][5].
  • OTT 서비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TV 등 다양한 기기에서 언제 어디서나 시청할 수 있어 편리함이 강점입니다. 혼자 또는 가족 단위로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으며, 일시정지·되감기·자막 설정 등 개인 맞춤 기능을 제공합니다[4][5][6].

2. 상영 및 공개 방식

  • 영화관 영화는 일정 기간 극장에서만 상영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야 OTT나 VOD로 이동합니다. 티켓을 구매해 1회 관람하는 방식입니다[5][6].
  • OTT 영화는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온라인으로 바로 공개되며, 구독만 하면 추가 비용 없이 언제든 감상할 수 있습니다[5][6].

3. 제작 방식과 예산

  • 극장 영화는 대형 스튜디오, 높은 제작비, 고퀄리티 VFX와 IMAX 촬영 등 대작 위주로 제작됩니다. 롱숏 등 넓은 화면을 활용한 촬영기법이 많아 디테일에 더 신경 씁니다[1][5].
  • OTT 영화는 상대적으로 제작비가 적게 들고, 스마트폰·TV 환경에 맞춘 연출과 빠른 전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1][5].

4. 수익 구조

  • 영화관은 티켓 판매가 주 수익원이며, 박스오피스 성적이 흥행의 핵심 지표입니다[5][6].
  • OTT는 구독 기반 수익 모델로, 개별 영화의 흥행보다 전체 구독자 유지와 시청 시간이 중요합니다[5][6].

5. 접근성과 콘텐츠 다양성

  • 영화관은 최신 영화를 일정 기간 독점 상영하지만,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있습니다[6].
  • OTT는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무제한으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6].

6. 가격 및 가성비

  • 영화관 티켓 가격은 1인당 1만 5,000원 내외로, 간식 등 부대비용까지 포함하면 부담이 큽니다[2][3].
  • OTT는 월 구독료만 내면 수백 편의 영화를 볼 수 있어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이 뛰어납니다[2][3][4].

요약 비교

구분영화관OTT 서비스
관람 환경대형 스크린, 서라운드 사운드, 공동체적 경험소형 디바이스, 개인 맞춤, 언제 어디서나 감상
상영 방식일정 기간 극장 독점, 티켓 구매온라인 즉시 공개, 구독 기반 무제한 시청
제작 방식대형 스튜디오, 고비용, 고퀄리티상대적으로 저비용, 빠른 전개, 맞춤 연출
수익 구조티켓 판매, 박스오피스 성적구독료, 전체 시청 시간과 구독자 유지
접근성시간·장소 제약, 최신작 위주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장르·스타일 제공
가격1회 1인당 1만 5,000원 내외월 구독료로 무제한 시청, 가성비 우위

각각의 장단점이 뚜렷해, 관객의 취향과 목적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5][6].

출처
[1] [와이라노] “영화는 극장이지”vs“OTT도 영화야”… OTT 플랫폼, 극장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230423.99099007144
[2] 40·50도 외면하는 영화관… 전 세대 OTT 쏠림현상 – 국민일보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37359377
[3] 팬데믹, OTT, 그리고 영화관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economist/academy/contents/230814102713331wk
[4] 극장 찾는 이유, OTT 보는 이유… 공간감 vs 편리함 [S 스토리] |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119511482
[5] OTT 전성시대 – 극장 영화와 스트리밍 영화의 차이점 – 다나도 – 티스토리 https://danatoo.tistory.com/entry/OTT-%EC%A0%84%EC%84%B1%EC%8B%9C%EB%8C%80-%E2%80%93-%EA%B7%B9%EC%9E%A5-%EC%98%81%ED%99%94%EC%99%80-%EC%8A%A4%ED%8A%B8%EB%A6%AC%EB%B0%8D-%EC%98%81%ED%99%94%EC%9D%98-%EC%B0%A8%EC%9D%B4%EC%A0%90
[6] 일반 영화하고 OTT영화의 다른점이 무엇인가요? – 아하 https://www.a-ha.io/questions/46f4ed014ae38ec389f5ccd35ea0c80a
[7] 영화관 vs 넷플릭스, 당신의 선택은?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kha662/15
[8] OTT 시대에 다시 한번 질문하는 극장과 영화의 존재론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7Z0a/63
[9] OTT와 영화관 산업의 공존, 과연 가능할까? – 퍼플마블 https://9078kusoos.tistory.com/entry/OTT%EC%99%80-%EC%98%81%ED%99%94%EA%B4%80-%EC%82%B0%EC%97%85%EC%9D%98-%EA%B3%B5%EC%A1%B4-%EA%B3%BC%EC%97%B0-%EA%B0%80%EB%8A%A5%ED%95%A0%EA%B9%8C
[10] 영화관 vs OTT?…플랫폼 영향력 아닌, ‘콘텐츠’가 관건 – 데일리안 https://www.dailian.co.kr/news/view/1124331
[11] 위기의 영화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 연세춘추 https://chunchu.yonsei.ac.kr/news/articleView.html?idxno=30595
[12] 영화관 vs OTT 서비스 – 다양한 분야를 폭넓게 https://darume.tistory.com/154
[13] 넷플릭스 VS 영화관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ldi25/221672755486
[14] 극장에서 얻은 영화의 진정한 매력: 스트리밍 서비스와의 차이점 https://shhsaccolade.com/19210/%ED%95%9C%EA%B5%AD%EC%96%B4/%EA%B7%B9%EC%9E%A5%EC%97%90%EC%84%9C-%EC%96%BB%EC%9D%80-%EC%98%81%ED%99%94%EC%9D%98-%EC%A7%84%EC%A0%95%ED%95%9C-%EB%A7%A4%EB%A0%A5-%EC%8A%A4%ED%8A%B8%EB%A6%AC%EB%B0%8D-%EC%84%9C%EB%B9%84%EC%8A%A4/
[15] 영화관, OTT와 싸우는 중…변화를 향한 필사의 도전 – 뉴스통 https://www.newstong.co.kr/Mobile/NewsView.aspx?seq=1255967&cate=0&subCate=0&type=0&cnt=-4
[16] OTT의 시대, 기로에 선 영화관 [K-무비, 무엇이 문제인가?②]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09842
[17] 극장과OTT 영화의표현방법차이연구: 클로즈업 쇼트와 음성언어의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190055
[18] OTT 서비스와 독립·예술영화관은 경쟁관계? – 서울대저널 http://www.snujn.com/news/53389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