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logy NAS의 QuickConnect와 리눅스 원격 접속의 한계와 대안

많은 사용자가 Synology NAS를 선택하는 이유 중 하나는 손쉬운 원격 접속 기능인 QuickConnect이다. 별도의 네트워크 지식 없이도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 기능은, 특히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 환경에서 강력한 편의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 QuickConnect는 그 자체로 전통적인 터널링이나 명령줄 기반 원격 접속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글에서는 QuickConnect의 구조적 한계와 그에 대한 기술적인 대안들을 정리한다.


QuickConnect의 동작 원리: 브라우저 기반 중계 시스템

QuickConnect는 Synology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중계 서비스다. 로컬 네트워크 설정을 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중간 서버를 거쳐 연결을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는 https://xxxx.quickconnect.to 같은 주소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DSM(DiskStation Manager)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브라우저 기반 접속에 특화되어 있으며, HTTP(S) 요청을 Synology 중계 서버가 내부 NAS로 전달하고 응답을 받아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술적으로는 웹 프록시에 가깝다. 이는 일반적인 SSH, FTP, rsync, WebDAV, SMB 등의 직접 포트 접근을 요구하는 서비스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QuickConnect의 구조적 한계

QuickConnect는 다음과 같은 작업에 적합하다:

  • DSM 웹 관리자 접속
  • Synology Drive 웹 인터페이스
  • Synology Mobile 앱 또는 PC 동기화 클라이언트 접속

하지만 다음과 같은 작업은 QuickConnect를 통해 불가능하거나 제한된다:

  • ssh, scp, rsync를 통한 명령줄 접속
  • davfs2 또는 mount를 통한 WebDAV 마운트
  • smbclient를 통한 SMB 공유 마운트
  • curl 또는 wget을 통한 파일 직접 다운로드

이러한 작업은 브라우저가 아닌 소켓 수준의 직접 연결을 필요로 하며, QuickConnect는 이를 중계하지 않는다. 포트포워딩 없이 단순한 도메인 주소로 접근할 수 있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Synology의 인증 서버와 중계 서버가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제한적인 터널일 뿐이다.


기술적으로 가능한 대안들

QuickConnect를 통해 할 수 없는 작업들을 위해서는 보다 전통적인 네트워크 접근 방식을 설정해야 한다.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DDNS(Dynamic DNS) + 포트포워딩

Synology NAS는 자체적으로 xxx.synology.me와 같은 DDNS 주소를 제공한다. 이 주소는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고정된 도메인을 부여하며, 공유기에서 다음 포트를 NAS로 포워딩해주면 CLI 기반 도구들이 정상 작동한다.

  • DSM 웹: 5000, 5001 (HTTPS 권장)
  • WebDAV: 5005, 5006
  • SSH: 22
  • FTP/SFTP: 21, 22
  • SMB: 445 (주의: 보안상 외부에 열지 않는 것을 권장)

포트포워딩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다면, 외부 리눅스 머신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이 가능해진다:

# SSH
ssh user@yourname.synology.me

# rsync
rsync -avz file.txt user@yourname.synology.me:/volume1/drive/

# WebDAV 마운트
sudo mount -t davfs https://yourname.synology.me:5006/drive /mnt/syno

# SMB 마운트
sudo mount -t cifs //yourname.synology.me/Drive /mnt/smb -o username=yourid,password=yourpw,vers=3.0

이 방식은 가장 전통적이고 범용적인 솔루션이며, NAS를 온전한 서버처럼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2. Tailscale을 활용한 VPN 기반 P2P 연결

Tailscale은 WireGuard 기반의 경량 VPN 서비스다. 복잡한 라우팅이나 포트포워딩 없이도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한 장비들을 내부망처럼 연결해준다.

  • Synology 패키지 센터에서 Tailscale 설치
  • NAS와 우분투 시스템 모두에 Tailscale 로그인
  • 각 장비에 고유한 100.x.x.x Tailscale IP 할당됨

이후 일반 IP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매우 간단한 SSH 접속도 가능하다:

ssh user@100.99.123.45  # Tailscale IP

또는 WebDAV, SMB도 같은 원리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특히 클라우드 서버나 원격지 NAS에 접근할 때 효과적이며, 보안성도 뛰어나다.


3. Cloudflare Tunnel 등 대안적 터널링 기술

기술적으로는 Cloudflare Tunnel을 활용해 내부 NAS의 웹포트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도 있다. 다만 Synology는 리눅스처럼 직접적인 터널 실행 환경이 제한되기 때문에 별도의 중간 게이트웨이 서버가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보다는 기업/기관 수준의 시스템 설계에 적합하다.


마무리

Synology의 QuickConnect는 편리한 기능이지만, 그것이 모든 연결 시나리오를 대체하지는 않는다. 특히, 명령줄에서의 직접 파일 업로드/다운로드나 자동화 스크립트 연동, 시스템 간 백업 작업에는 한계가 뚜렷하다. 진정한 의미에서 NAS를 “리눅스 서버처럼” 사용하고자 한다면, DDNS와 포트포워딩 혹은 VPN 기반의 직접 터널링이 필수적이다.

파일 전송, 원격 운영, 자동화의 필요가 있다면 더 이상 QuickConnect만으로는 부족하다. 본격적인 네트워크 구조 이해와 함께, 적절한 보안 설정을 갖춘 직접 연결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