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Gold)과 꿀(Honey)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인간에게 사랑받아 온 대표적인 물질이다. 하나는 고대부터 귀금속으로 쓰이며 경제적, 문화적 가치를 지녔고, 다른 하나는 식품으로서 수천 년간 인간의 식탁 위에 올라왔다. 이 둘이 공통으로 지닌 특성이 있다면 바로 ‘변하지 않음’이다. 금은 녹슬지 않고 꿀은 썩지 않는다.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한 특성 같지만, 이 둘의 불변성은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복합적인 과학적 원리에 기반한다.
금(Gold)은 왜 변하지 않는가?
금은 주기율표에서 79번 원소(Au)로, 전이금속(transition metal)에 속한다. 그 원자는 전자배치상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띠며, 산소나 수소, 염소 등과 쉽게 결합하지 않는다. 즉, 대부분의 산화, 환원 반응에서 반응성이 거의 없다. 금이 공기 중에서도 녹슬지 않고 원래의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낮은 반응성은 금을 화학적으로 ‘귀금속(noble metal)’으로 분류하게 만들며, 실험실에서도 왕수(질산과 염산의 혼합물)와 같은 특수한 환경이 아니면 금을 녹이거나 변형시키기 어렵다. 실제로 고대 유물 중 금으로 제작된 장신구가 수천 년이 지나도록 거의 원형 그대로 발굴되는 사례가 이러한 특성을 증명한다.
또한 금은 전기전도성, 연성, 광택 등 여러 가지 물리적 특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산업적, 예술적 가치를 동시에 지닌다. 이처럼 화학적 안정성은 금의 내구성과 상징성의 근간이라 할 수 있다.
꿀(Honey)은 왜 썩지 않는가?
반면, 꿀은 식품이다. 대부분의 식품은 시간이 지나면 미생물에 의해 부패되지만, 꿀은 수천 년이 지나도 그대로 보존될 수 있다. 실제로 고대 이집트의 무덤에서 발견된 꿀 항아리는 여전히 식용 가능한 상태였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이러한 꿀의 보존력은 여러 과학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1. 낮은 수분 활성도(Water Activity)
꿀은 수분 함량이 17~18% 정도로 매우 낮고, 대부분이 포도당과 과당 같은 단당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조건은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증식하기에 부적절한 환경을 만든다. 수분이 부족하면 세포 분열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2. 높은 산도(pH 3.2~4.5)
꿀은 약산성을 띠며, 대부분의 병원균은 산성 환경에서 생존이 어렵다. 이 산성은 꽃꿀에 존재하는 유기산(특히 글루콘산)에서 기인한다.
3. 과산화수소(H₂O₂)의 생성
꿀벌은 꿀을 만들 때 ‘글루코스 옥시다아제’라는 효소를 첨가하는데, 이 효소는 꿀 속의 포도당을 산화시켜 글루콘산과 함께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 과산화수소는 천연 살균제 역할을 하여 세균의 번식을 억제한다.
4. 항균 물질의 존재
꿀에는 폴리페놀과 같은 항산화 물질뿐 아니라, 식물의 피톤치드 성분, 꿀벌의 분비물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역시 강력한 항균 작용을 한다.
금과 꿀이 상징하는 ‘영속성’
금은 화학적 안정성으로, 꿀은 생물학적-화학적 복합 작용으로 인해 변하지 않는다. 이 두 물질의 공통점은 단순한 ‘부패하지 않음’을 넘어서 ‘시간이 지나도 본질이 유지되는 것’에 있다. 그래서 인류는 이 두 가지를 각각 ‘영원함’과 ‘순수함’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종교적 의례, 왕실의 헌정품, 고대 무덤의 부장품 등에서 금과 꿀이 빠지지 않았던 이유는 단지 희소성이나 맛 때문이 아니라, 이들이 지닌 물리적·화학적 특성이 ‘기억되고 보존되어야 할 것들’을 담기에 적합했기 때문이다.
금은 반응하지 않음으로써, 꿀은 미생물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각자의 방식으로 시간을 견뎌낸다. 그것은 물질의 본질이 어떻게 조화롭게 구성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자연의 과학적 설계이며, 인간이 배울 수 있는 훌륭한 보존의 메커니즘이기도 하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