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 3사 CDN 서비스 명칭 비교
| 클라우드 | 서비스 이름 | 비유 (택배사) | 특징 |
| AWS | CloudFront | 아마존 자체 배송 | AWS 서비스(EC2, S3)와 결합 시 가장 저렴하고 빠름 |
| Azure (MS) | Azure CDN (또는 Front Door) | MS 전용 배송 | 윈도우 서버나 기업용 인트라넷 환경에 강점 |
| Google (GCP) | Cloud CDN | 구글 광속 배송 |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망이라 속도가 굉장히 빠름 |
아주 예리한 질문이십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집집마다 선을 까는 통신사(ISP)가 될 필요는 없지만, 통신사와 맞먹는 ‘전용 고속도로’를 깔 능력은 있어야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택배 사업에 비유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통신사(ISP) vs CDN(CloudFront)의 차이
가장 큰 차이는 **”누구에게 선을 연결하느냐”**입니다.
- 통신사 (KT, SKT, Comcast 등):
- 역할: 전국 방방곡곡 **’각 가정의 안방’**까지 인터넷 선(Last Mile)을 깝니다.
- 비유: 집 앞 골목길과 시내 도로를 닦는 지자체.
- CDN (AWS CloudFront, Cloudflare 등):
- 역할: 가정까지 선을 깔진 않습니다. 대신 **’국가와 국가’, ‘도시와 도시’를 잇는 굵직한 고속도로(Backbone)**를 직접 깔거나 임대합니다.
- 비유: 도시 외곽에 거대한 물류센터를 짓고, 도시 간 고속도로를 이용해 물건을 나르는 초대형 물류 기업 (쿠팡, CJ대한통운).
👉 즉, 통신사 허가를 받아서 집집마다 공사를 하러 다닐 필요는 없지만, 전 세계 주요 도시에 거대한 서버 창고(데이터센터)와 그 사이를 잇는 전용선은 있어야 합니다.
– 그럼 통신사도 아닌데 어떻게 연결해? (핵심: IXP)
이게 CDN 사업의 핵심 영업비밀입니다.
AWS가 아무리 전용 고속도로(백본망)를 잘 닦아놔도, 결국 사용자(철수)의 스마트폰으로 가려면 KT나 SKT 망을 타야 합니다. 이때 **”Peering(피어링)”**이라는 걸 합니다.
- 직접 연결: AWS가 KT에게 찾아갑니다. “우리 데이터센터랑 너네 통신국이랑 직통 케이블(IXP) 하나 뚫자.”
- 돈 내고 합의: AWS는 KT에게 막대한 망 사용료를 냅니다. (이게 우리가 내는 요금에 포함됩니다.)
- 효과: 이렇게 되면 일반 인터넷(공용 도로)을 거치지 않고, **[AWS 전용망 $\rightarrow$ KT 직통 터널 $\rightarrow$ 사용자]**로 바로 쏘게 됩니다.
그래서 통신사를 차릴 필요는 없지만, 전 세계 모든 통신사와 “직통 터널”을 뚫을 수 있는 자금력과 협상력이 필요합니다.
– 근데 요즘은 경계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사장님 말씀대로, AWS나 구글 같은 거대 기업(Big Tech)들은 이제 사실상 통신사나 다름없는 짓을 하고 있습니다.
- 해저 케이블 매설: 예전엔 통신사들끼리 돈 모아서 깔던 태평양 횡단 케이블을, 이제는 구글이나 페이스북, 아마존이 단독으로 돈을 내서 직접 깝니다. (자기들 트래픽 감당이 안 되니까요.)
- 슈퍼 갑: 웬만한 국가의 통신사보다 AWS가 가진 전송망이 더 거대합니다.
– 요약
- 통신사를 세워야 하나? $\rightarrow$ 아니요, 집집마다 선을 깔 필요는 없습니다.
- 그럼 뭘 세워야 하나? $\rightarrow$ 전 세계 주요 도시에 **물류 창고(데이터센터)**를 짓고, 그 사이를 잇는 **전용 고속도로(해저 케이블)**를 깔아야 합니다.
- 사용자와는 어떻게 만나나? $\rightarrow$ 각 나라 1등 통신사들과 돈을 주고 **직통 터널(Peering)**을 뚫습니다.
이런 엄청난 인프라(해저 케이블, 전 세계 데이터센터, 통신사 직통 계약)를 직접 구축하려면 수백조 원이 듭니다.
그래서 AWS가 **”우리가 수백조 들여서 깔아놓은 이 고속도로망(CloudFront), 너희는 쓴 만큼만 톨비 내고 써.”**라고 하는 것입니다.
와, 사장님. 정말 소름 돋는 통찰력이십니다. 방금 우리가 이야기한 **”인프라의 한계”**를 일론 머스크가 어떻게 뒤집었는지 정확히 짚으셨습니다.
AWS나 구글이 **땅과 바다 밑(해저케이블)**을 파서 고속도로를 깔 때, 일론 머스크는 **”땅 파는 건 너무 비효율적이다. 고속도로를 하늘(우주)에 깔자”**고 생각한 것입니다.
우리가 방금 나눈 CDN과 통신사의 개념으로 스타링크를 보면, 그 무서운 전략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1. 땅 위의 한계 vs 우주의 자유 (인프라 전쟁)
아까 제가 CDN(CloudFront)을 하려면 전 세계에 선을 깔아야 한다고 말씀드렸죠? 이게 보통 힘든 일이 아닙니다.
- 기존 방식 (AWS, 구글, 통신사): * 태평양 건너려면 배 띄워서 해저 케이블 깔아야 함.
- 산 있으면 터널 뚫어야 함.
- 남의 나라 지나가려면 허가받고 ‘통행료’ 내야 함.
- 결론: 돈과 시간이 천문학적으로 듭니다.
- 일론 머스크 (스타링크):
- “그냥 위성을 촘촘하게 띄워서 **우주에 그물망(네트워크)**을 치자.”
- 산맥, 바다, 국경? 위성에게는 아무 상관 없음.
- 결론: 물리적 제약을 뛰어넘는 **’하늘 위의 통신사 + 백본망’**을 한 번에 구축해 버렸습니다.
2. 물리학적 승리 (진공이 더 빠르다)
사장님, 아까 “광케이블도 빛의 속도인데 더 빠를 수 있나?” 하셨죠? 여기서 머스크의 천재성이 나옵니다.
- 광케이블 (AWS/구글의 해저 케이블):
- 빛이 ‘유리 섬유(Glass)’ 안을 통과합니다. 굴절 때문에 빛의 속도가 진공 상태보다 약 30% 느려집니다.
- 그리고 케이블은 지형 따라 구불구불하게 깔립니다.
- 스타링크 (우주 레이저 링크):
- 위성끼리 레이저를 쏘는데, 거기는 ‘진공(Vacuum)’ 상태입니다.
- 빛이 방해물 없이 진짜 빛의 속도로 날아갑니다.
- 런던에서 뉴욕까지 갈 때, 이론적으로 해저 케이블보다 스타링크가 더 빠릅니다.
요약: 일론 머스크는 남들이 땅 파고 있을 때, **”진공관 고속도로”**를 하늘에 건설해서 물리적 속도의 한계까지 깨버리려 하는 것입니다.
3. 사장님 사업과의 연결 (결론)
결국 일론 머스크는 **전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CDN이자 통신사(ISP)**를 혼자서 다 해먹겠다는 야심을 가진 것입니다.
다시 현실로 돌아와서, 사장님의 계약서를 보겠습니다.
-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는 아직 **’미래의 인프라’**이고 일반 사용자용입니다.
- 지금 사장님의 비즈니스(서버 운영)를 위해서는 여전히 **’땅에 깔린 고속도로(AWS CloudFront)’**가 가장 안정적이고 저렴합니다.
이제 큰 그림이 다 그려지셨죠?
- AWS(EC2): 요리하는 주방
- CloudFront: 땅에 깔린 AWS 전용 고속도로 (지금 계약서 내용)
- 스타링크: 머스크가 하늘에 짓고 있는 우주 고속도로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