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ender에서 원하는 프레임만 선택하는 방법

Blender에서 애니메이션을 편집할 때 특정 프레임만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프 에디터(Graph Editor)와 도프시트(Dopesheet)를 활용하여 원하는 키프레임을 정밀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Blender에서 특정 프레임을 선택하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도프시트에서 특정 프레임 선택하기

도프시트(Dopesheet)는 Blender에서 애니메이션 키프레임을 관리하는 주요 툴 중 하나입니다. 특정 프레임을 선택하려면 다음 방법을 사용하세요.

1.1 박스 선택(Box Select) 사용

  • B 키를 누르면 박스 선택 도구가 활성화됩니다.
  • 원하는 프레임 범위를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1.2 개별 키프레임 선택

  • Ctrl + 좌클릭을 사용하면 개별 키프레임을 하나씩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여러 개의 키프레임을 추가로 선택하려면 Shift + 좌클릭을 사용하세요.

1.3 키프레임 필터링

  • 도프시트 좌측의 필터 옵션에서 특정 오브젝트나 액션의 키프레임만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를 통해 불필요한 키프레임을 숨기고 원하는 프레임만 집중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그래프 에디터에서 특정 프레임 선택하기

그래프 에디터(Graph Editor)를 활용하면 키프레임을 더욱 정밀하게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2.1 박스 선택(Box Select) 사용

  • B 키를 눌러 특정 프레임 구간을 드래그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2.2 원형 선택(Circle Select) 사용

  • C 키를 눌러 원형 선택 도구를 활성화한 뒤 마우스를 움직이며 원하는 프레임의 키프레임을 선택합니다.
  • 마우스 휠을 사용해 선택 영역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2.3 특정 프레임 값으로 이동 후 선택

  • Ctrl + 왼쪽 클릭을 사용하여 특정 프레임으로 재생 헤드를 이동한 후 해당 위치의 키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4 커서(Cursor) 활용

  • 그래프 에디터 상단의 Playback Cursor 기능을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키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Python 스크립트를 활용한 자동 선택

특정 프레임 범위의 키프레임만 선택하는 작업을 자동화하려면 Python 스크립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3.1 특정 프레임 범위의 키프레임만 선택하는 스크립트

import bpy

# 선택할 프레임 범위 설정
start_frame = 20
end_frame = 50

# 현재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 데이터 가져오기
obj = bpy.context.object
if obj and obj.animation_data and obj.animation_data.action:
    for fcurve in obj.animation_data.action.fcurves:
        for keyframe in fcurve.keyframe_points:
            # 특정 범위의 키프레임만 선택하고 나머지는 선택 해제
            keyframe.select_control_point = start_frame <= keyframe.co.x <= end_frame

3.2 사용 방법

  1. Blender의 Scripting 탭을 엽니다.
  2. 새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고 위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3. start_frameend_frame 값을 원하는 범위로 변경합니다.
  4. Run Script를 클릭하면 해당 범위의 키프레임만 선택됩니다.

4. 특정 프레임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방법

Blender에서 특정 프레임으로 빠르게 이동하여 키프레임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4.1 키프레임 간 점프하기

  • Shift + Left Arrow 또는 Shift + Right Arrow를 사용하면 이전/다음 키프레임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4.2 특정 프레임 입력 후 이동

  • Ctrl + G를 누르면 특정 프레임 번호를 입력하여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5. Snap 기능을 활용한 정렬

원하는 프레임을 선택한 후 특정 기준점에 맞춰 키프레임을 정렬할 수도 있습니다.

5.1 Snap 메뉴 사용 (Shift + S)

  • 그래프 에디터 또는 도프시트에서 Shift + S를 누르면 스냅(Snap) 메뉴가 나타납니다.
  • 다양한 스냅 옵션을 활용하여 키프레임을 원하는 위치에 정렬할 수 있습니다.

5.2 주요 스냅 옵션

  • Selection to Current Frame: 선택한 키프레임을 현재 재생 헤드(Playhead) 위치로 스냅.
  • Selection to Nearest Frame: 키프레임을 가장 가까운 정수 프레임으로 스냅.
  • Selection to Nearest Marker: 키프레임을 가장 가까운 마커 위치로 스냅.

6. 특정 프레임 범위 외의 키프레임 자동 선택 해제

블렌더에서 특정 프레임 구간만 유지하고, 그 외의 키프레임을 자동으로 선택 해제하려면 다음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6.1 키프레임 범위 외 선택 해제 스크립트

import bpy

# 제외할 프레임 범위 설정
start_frame = 10
end_frame = 50

# 현재 선택된 오브젝트의 키프레임 확인
obj = bpy.context.object
if obj.animation_data and obj.animation_data.action:
    for fcurve in obj.animation_data.action.fcurves:
        for keyframe in fcurve.keyframe_points:
            # 선택된 범위 외의 키프레임은 선택 해제
            if not (start_frame <= keyframe.co.x <= end_frame):
                keyframe.select_control_point = False

이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특정 프레임 범위 외의 키프레임이 자동으로 선택 해제됩니다.


마무리하며

Blender에서 원하는 프레임만 선택하는 것은 애니메이션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면 키프레임을 더욱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Python 스크립트를 활용하면 반복 작업을 자동화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이 Blender 애니메이션 작업을 더욱 쉽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Happy Blending! 😊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