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미분류

  • 대규모 언어 모델과 벡터 검색의 결합: 현대 정보 탐색의 핵심 기술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방대한 데이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하고, 의미 있게 활용하느냐이다. 단순한 키워드 검색만으로는 정보의 깊이와 맥락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인공지능과 결합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바로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벡터 검색(Vector Search)의 융합이다.

    키워드 검색에서 의미 기반 검색으로

    기존 검색 시스템은 텍스트 문자열의 단순 일치 여부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같은 의미라도 표현 방식이 달라지면 검색 정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자동차”와 “승용차”라는 단어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지만 전통적인 검색 엔진은 이를 별개의 항목으로 처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단어와 문장을 벡터 공간에 투영하여 의미적 유사성을 계산하는 기법이 등장했다.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query)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서를 벡터 형태로 비교하면, 단순 키워드가 달라도 의미가 비슷한 결과를 찾을 수 있다.

    FAISS와 같은 고성능 벡터 검색 엔진의 역할

    벡터 기반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라이브러리가 **FAISS(Facebook AI Similarity Search)**다. 이 시스템은 수백만에서 수억 개에 이르는 벡터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특히 GPU를 활용하면 대규모 데이터셋에서도 밀리초 단위로 최근접 벡터를 찾을 수 있어, 추천 시스템, 이미지 검색,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언어 모델과의 시너지

    LLM은 단어와 문맥을 잘 이해하고 새로운 텍스트를 생성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보인다. 그러나 모델이 학습한 범위 밖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기는 어렵다. 이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이 바로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구조다. LLM이 벡터 검색을 통해 관련 문서를 실시간으로 불러오고, 이를 바탕으로 답변을 생성하면 최신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실제 응용 사례

    • 지식 사전 구축: 여러 언어의 어휘와 예문을 벡터화하여, 특정 접두사나 두 글자 조합만 입력해도 의미적으로 가장 가까운 단어들을 제안할 수 있다.
    • 고객 서비스 챗봇: FAQ 문서를 벡터 검색으로 연결하면 고객 질문에 대해 문맥적으로 맞는 답변을 자동 제공할 수 있다.
    • 콘텐츠 추천: 영상, 기사, 논문 등 비정형 데이터도 임베딩 후 유사도 기반으로 추천 가능하다.

    앞으로의 전망

    벡터 검색과 LLM의 결합은 단순한 검색을 넘어, 의미 기반 정보 인프라를 만드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데이터는 더 이상 단순 텍스트가 아니라, 맥락과 의미를 반영한 지식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 연구, 비즈니스 의사결정 등 거의 모든 산업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글은 특정 환경 설정이나 계정과 같은 특수 정보가 아닌, 일반적인 지식과 기술적 맥락에 기반해 작성되었다.

    지금은 Anaconda 기본 채널(defaults)의 ToS 미수락 때문에 어떤 작업이든 막히는 상태예요. 해결은 두 가지 중 하나로 하면 됩니다.


    A. ToS 빠르게 수락(가장 간단)

    # 기본 채널 2개 ToS 수락
    conda tos accept --override-channels --channel https://repo.anaconda.com/pkgs/main
    conda tos accept --override-channels --channel https://repo.anaconda.com/pkgs/r
    

    그다음 진행:

    # 새 환경 만들기
    conda create -n dict -c conda-forge --override-channels python=3.12 -y
    conda activate dict
    
    # 채널/우선순위 환경 단위로 고정
    conda config --env --add channels conda-forge
    conda config --env --set channel_priority strict
    
    # GPU FAISS 설치 (CUDA 12 계열 + libgcc 14)
    conda install --override-channels -c conda-forge \
      "faiss-gpu>=1.9,<1.12" "cuda-version=12.4" "libgcc-ng=14" "libstdcxx-ng=14" -y
    
    # 확인
    python - <<'PY'
    import faiss
    print("FAISS:", faiss.__version__)
    try:
        import faiss.contrib.torch_utils
        res = faiss.StandardGpuResources()
        print("GPU OK")
    except Exception as e:
        print("GPU check error:", e)
    PY
    

    B. 아예 defaults 채널 제거(ToS 없이 진행)

    전역 설정에 붙어 있는 defaults를 제거하고 conda-forge만 사용합니다.

    # 현재 채널 확인(참고)
    conda config --show channels
    
    # defaults / anaconda 채널 제거
    conda config --remove channels defaults || true
    conda config --remove channels https://repo.anaconda.com/pkgs/main || true
    conda config --remove channels https://repo.anaconda.com/pkgs/r || true
    
    # conda-forge만 추가 + strict
    conda config --add channels conda-forge
    conda config --set channel_priority strict
    

    그다음 동일하게:

    conda create -n dict --override-channels -c conda-forge python=3.12 -y
    conda activate dict
    
    conda install --override-channels -c conda-forge \
      "faiss-gpu>=1.9,<1.12" "cuda-version=12.4" "libgcc-ng=14" "libstdcxx-ng=14" -y
    

    • ToS가 또 뜨면 B방법(채널 제거) 로 가는 게 깔끔합니다.
    • 설치 전 충돌 줄이려면: unset PYTHONPATH
    • mamba 쓰고 싶다면 ToS 처리 후: conda install -n base --override-channels -c conda-forge mamba -y mamba install -n dict -c conda-forge faiss-gpu "cuda-version=12.4" libgcc-ng=14 libstdcxx-ng=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