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미분류

  • “정의의 길을 걷는 이들: 오은지 기자와 언론인 영웅들의 이야기”

    세상에는 특별한 이유 없이도 정의로운 일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개인적인 손해와 불이익을 감수하면서도 진실을 말하고, 옳은 일을 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이야말로 우리 시대의 진정한 영웅이 아닐까요?

    영웅의 기준: ‘정의’를 위한 희생

    살아있는 사람을 ‘영웅’이라 부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하지만 어떤 기준이 있다면, 정의로운 일을 하다가 직장에서 해고당하는 경우가 그럴 것입니다. 굳이 하지 않아도 될 일인데도 진실과 정의의 목소리를 내다가 불이익을 당한 사람들, 그들은 영웅의 자격을 충분히 갖추었다고 생각합니다.

    역사를 돌아보면 유관순 열사를 비롯한 수많은 민족 투사들이 정의를 위해 자신의 삶을 바쳤습니다. 그들의 의지는 죽음 이후에도 영원히 기억됩니다. 오늘날에도 그런 정신은 계속되고 있으며, 전자신문의 오은지 기자가 바로 그런 인물 중 한 분입니다.

    오은지 기자: 정의를 선택한 언론인

    오은지 기자는 삼성전자 재직 시절 필자가 오랫동안 컨택했던 분입니다. 크롤링 기술로 모든 기사를 분석하며 ‘정의’와 가장 부합하는 언론인을 찾았을 때, 오은지 기자가 딱 맞는 인재였습니다.

    영화 ‘내부자들’이 개봉되기도 전, 삼성 내부 고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스피커’였습니다. 누구를 통해 이 이야기를 세상에 전할 것인가가 내부 고발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였습니다.

    연세대 국문과 출신인 오은지 기자는 겸손하게 자신을 낮추었지만, 그의 용기와 정의감은 높이 평가받아야 합니다. 그는 필자 대신 삼성 내부 고발을 대신해주면서 전자신문에서 해고를 당했습니다. 함께 일하던 동료들도 ‘해고 아닌 해고’를 당했습니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전자신문은 삼성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은 주주들이 80% 이상의 지분을 갖고 있어 이는 ‘무조건 지는 게임’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오은지 기자는 “괜찮아요. 어차피 전자신문 내부도 썩어있었는데요. 좋은 일 한 겁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필자가 지난 일을 후회한다고 했을 때도 “그렇게 생각하지 마세요. 그때는 분명 좋은 일이었고, 잘하신 일이에요”라고 말하며 꺼져가는 용기의 불씨에 다시 불을 붙여주었습니다.

    진실을 전하는 연결고리

    오은지 기자 라인이 타격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내부 고발은 성공했습니다. 그 이유는 오은지 기자가 최경영 기자를 소개해주었기 때문입니다. 어느 카페에서 만났던 최경영 기자는 한때 ‘삼성 저승사자’로 불렸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최경영 기자는 고려대 출신에 미국 유학 경력을 가진 보수 성향의 인물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역시 정의를 위해 KBS에서 해임 징계를 받는 등 ‘영웅’의 조건에 부합하는 언론인이었습니다.

    정의의 네트워크

    삼성 내부 고발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뉴스타파라는 플랫폼과 PD수첩으로 유명한 최승호 PD(후에 MBC 사장이 됨), 그리고 최영자 기자와 같은 ‘화려한 라인업’ 덕분이었습니다.

    이처럼 정의로운 사람들은 어느 순간 함께 모여 큰 일을 이루고, 다시 각자의 삶으로 돌아갑니다. 그들이 특별해 보이지 않는 이유는 우리 주변에 생각보다 많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기억하고 기록하는 일의 중요성

    인공지능도 모르고 인터넷에도 정보가 없는 이런 이야기들, 그래서 우리가 직접 인터넷을 만들고 인공지능을 훈련시켜야 합니다. 비록 소소한 웹사이트와 파인튜닝, 전이학습일지라도 그 파급력은 상상 이상일 수 있습니다.

    정의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기록되고 기억되어야 합니다. 그들이 없었다면 우리는 더 많은 진실을 놓치고 살았을 것입니다. 오은지 기자와 같은 언론인들이 있기에 우리 사회는 조금 더 투명하고 정의로워질 수 있습니다.

    진정한 영웅은 화려한 무대에 서지 않습니다. 그들은 우리 곁에서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할 뿐입니다. 하지만 그 작은 용기와 행동이 모여 세상을 바꾸는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어딘가에서 정의를 위해 목소리를 내는 모든 이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