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미분류

  • 선물거래로 이해하는 필수 경제학

    1. 제로섬 게임 (Zero-Sum Game)

    핵심 개념: 한 사람의 이익은 반드시 다른 사람의 손실과 같다.

    • 선물시장에서 롱 포지션의 수익 = 숏 포지션의 손실
    • 전체 시장의 돈은 증가하지 않음 (거래소 수수료 제외)
    • 투자가 아닌 도박에 가까운 성격

    2. 레버리지 효과

    정의: 적은 자본으로 큰 포지션을 갖는 것

    수익률 계산

    • 현물: 100만원 → 1% 상승 → 1만원 수익 (1% 수익률)
    • 선물 100배: 100만원 → 1% 상승 → 100만원 수익 (100% 수익률)

    위험성

    • 100배 레버리지 = 1% 반대 움직임으로 전액 손실
    • 높은 수익률 = 높은 위험률

    3. 유동성과 매칭 시스템

    매칭 원리: 모든 거래는 반드시 1:1 매칭되어야 성립

    유동성 부족 시 문제점

    • 수익이 나도 팔 상대방이 없으면 현금화 불가능
    • 극단적 상황에서 “돈이 있어도 못 빼는” 상황 발생
    • 거래소가 임시 상대방 역할 담당

    4. 펀딩비 메커니즘

    목적: 시장 균형 유지

    작동 방식

    • 롱이 많으면 → 롱이 숏에게 펀딩비 지불 → 숏 포지션 매력도 증가
    • 숏이 많으면 → 숏이 롱에게 펀딩비 지불 → 롱 포지션 매력도 증가
    • 경제적 인센티브로 시장 참여 유도

    5. 거래소의 이중적 역할

    표면적 역할: 중개업체

    • 매칭 서비스 제공
    • 수수료 수익

    실제 역할: 금융회사

    • 시장 조성자 (Market Maker)
    • 청산된 포지션을 떠안음
    • 보험 기금 운영
    • 때로는 고객과 이해상충 발생

    6. 시장 조작의 경제학

    현물-선물 상호작용

    • 대형 투자자(고래)들이 현물 매수/매도로 가격 조작
    • 선물 포지션과 연계해서 수익 극대화
    • 선물이 현물 가격을 역으로 결정하기도 함

    거래소의 리스크 관리

    • 누적 손실이 커지면 급등/급락 유도
    • 모든 포지션을 강제 청산시켜 리스크 제거
    • 인위적 변동성 창출

    7. 정보 비대칭성

    핵심: 모든 참가자가 같은 정보를 갖지 않음

    정보 우위 집단

    • 거래소 (가장 많은 정보 보유)
    • 대형 투자기관
    • 내부자들

    일반 투자자

    • 제한된 정보로 의사결정
    • 정보 열세로 인한 구조적 불리함

    8. 행동경제학적 함정

    손실 회피 편향

    • 수익이 나면 빨리 확정하려 함
    • 손실이 나면 회복을 기대하며 보유 연장
    • “이번에는 다를 거야” 착각

    도박 중독성

    • 큰 수익 경험 → 위험 감각 마비
    • 연속 손실 → 더 큰 베팅으로 만회 시도
    • “100만원→30억→0원” 패턴의 심리적 배경

    9. 경제 시스템에서의 역할

    긍정적 기능

    • 가격 발견 기능 (적정 가격 찾기)
    • 리스크 헤징 도구
    • 시장 유동성 제공

    부정적 영향

    • 투기 자본 유입으로 변동성 증가
    • 실물 경제와 괴리된 가격 형성
    • 금융 불안정성 증대

    10. 현대 금융의 본질

    핵심 깨달음: 선물시장을 통해 보는 현대 금융의 민낯

    • 돈이 돈을 버는 구조
    • 실물 가치 창조 없는 부의 이전
    • 소수의 정보 보유자가 다수를 상대로 하는 게임
    • **”카지노 자본주의”**의 전형적 사례

    결론

    선물거래는 단순한 투자 상품이 아니라 현대 경제 시스템의 축소판이다.

    • 정보, 자본, 기술력의 격차가 승부를 결정
    • 개인 투자자는 구조적으로 불리한 위치
    • **”시장은 효율적”**이라는 가정이 현실과 다름을 보여주는 사례

    이를 이해하는 것은 투자를 위해서가 아니라, 현대 경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이다.